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가 또 한번 페이스북을 통해 문재인정부를 비판했다. 이번에는 현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겨냥했다.
홍 전 대표는 31일 페이스북에 “경제에 좌파이념을 추가한 정부가 성공한 사례는 세계 어디에도 없다”며 “더이상 파국이 오기 전에 새로운 경제정책을 세워야 할 때”라고 비판했다.
그는 헌법상 ‘경제 자유화(제119조 1항)’가 ‘경제 민주화(119조 2항)’보다 앞서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들며 “경제 자유화가 기본원칙이고 경제 민주화는 불가피할 경우 보충적 개념임에 불과한데도 우리는 마치 경제 민주화가 원칙인 줄 잘못 안다”고 말했다.
이어 “원칙과 예외가 뒤바뀐 경제 정책을 지난 30년간 우리는 반성 없이 추진해 왔다”며 “그 결과 저성장과 양극화는 가속화됐고, 복지 포플리즘은 일반화돼 그리스와 베네수엘라 경제를 따라가는 형국이 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금 그것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며 “세계가 호황국면인데 우리만 유독 저성장, 물가폭등, 최악의 청년실업, 기업 불황, 수출부진, 자영업자 몰락 등으로 나라 경제가 파국으로 치닫고 있다”고 주장했다.
홍 전 대표는 지난 6·13 지방선거 패배의 책임을 안고 물러난 뒤 미국으로 건너갔다. 이후 페이스북 정치 중단을 선언했으나 정부와 여당을 비판하는 글을 게재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고(故) 노회찬 의원이 별세한 직후 올린 글로 논란을 자초하기도 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