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경기도가 추진 중인 지역화폐를 전국으로 확대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이 지사는 30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민선7기 첫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복지지출을 해당 지역화폐로 지급해 반드시 지역에서 쓰게 하면 골목상권도 살리고 지역경제도 활성화시킬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현재는 각 지역별로 지역화폐 발행 준비가 안 된 만큼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선택권을 주고, 지역화폐로 받는 사람에게는 추가로 인센티브를 주면 된다”고 덧붙였다.
이 지사는 추가 인센티브에 대한 재원은 정부와 광역시·도, 시·군이 분담하면 된다는 입장이다.
그는 “지역화폐는 실제로 영세자영업자에게 큰 도움이 되고 매출도 실제로 증대된다”면서 “아주 소액으로도 효과가 있다는 건 이미 증명됐기 때문에 정부가 관심을 가져달라”고 강조했다.
경기도는 내년부터 청년배당과 산후조리비 등 정책수당을 지역화폐로 지원하기로 하고 지난 28일 ‘지역화폐의 보급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조례안’을 입법 예고했다.
이 지사는 평화통일경제특구에 대해서도 소신을 피력했다.
그는 “경기도 자체연구 결과에 따르면 평화통일경제특구를 100만평 조성하면 전국적으로 약 7만개의 일자리가 생겨난다”면서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추진도 응원하고, 경기도 입장에서는 매우 중요한 일이기 때문에 꼭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각 시·도별 일자리 창출 방안을 주제로 열린 이날 회의에서 이 지사는 정부의 소득주도성장론에 대해 “최근 소득주도성장론을 두고 논쟁이 많이 벌어지고 있는데 소득주도성장정책은 우리 경제의 지속성장을 위한 유일한 길”이라며 “생활SOC같은 정책들도 각 지역에 아주 세밀하게 적용되면 실제 일자리나 국민의 삶의 질 개선에 크게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 지사는 “많은 일자리를 한 번에 만드는 획기적 정책은 사실상 없다. 작은 일자리를 부분 부분별로 많이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며 경기도 정책으로 버스운수종사자 지원 같은 공익적 민간일자리와 체납관리단, 공공관리소와 시민순찰대 등 공공일자리 창출방안을 제시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