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장관에 송영무 대신 정경두 유력…‘중폭 개각’에 거론된 인사들

입력 2018-08-28 08:26 수정 2018-08-28 09:12

청와대가 곧 단행할 개각에 송영무 국방부 장관을 경질하고 후임으로 정경두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임명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중앙일보는 여권 핵심 인사의 말을 인용해 이르면 31일 단행할 ‘중폭 개각’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송 장관 후임으로 정경두 현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28일 보도했다.

여권 핵심 인사는 “공약에 따라 민간인 장관 임명도 고려했지만 군 개혁과 안보 상황 등이 감안됐다”고 중앙일보에 발했다. 정 의장은 당초 이날부터 휴가를 쓰려했던 계획을 취소하고 정상 출근했다는 점도 이 같은 주장을 뒷받침한다. 공사 30기인 정 의장이 임명되면 해군 출신의 송 장관에 이어 ‘비육군’ 출신이 국방부를 이끌게 된다.

보도에 따르면 고용 대란에 직면한 김영주 고용부 장관도 교체가 확실시된다. 정부 관계자는 “고용부 출신 2명이 후임자에 올랐다”며 이재감 전 차관과 이재흥 한국고용정보원장을 거론했다. 이 전 차관은 고용부 차관과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을 역임했고 이 원장은 고용부 고용정책실장, 중앙노동위원회 사무처장 등을 지낸 인사다. 이들에 대한 검증도 이미 끝난 상태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입시 제도 논란에 휩싸였던 김상곤 교육부총리도 교체 대상이다. 후임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7년 연속 교문위 활동 중인 유은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후보로 부상 중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내각 내 여성 비율 30% 공약했는데 유 의원은 여성으로서 교육에 전문성을 갖춘 인물”이라며 “유 의원은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군에도 올라 있다”고 중앙일보에 말했다.

재활용 쓰레기 대란을 초래한 김은경 환경부 장관 대신 우원식 민주당 의원의 입각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전문성을 고려해 환경부 내부 승진 가능성도 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반면 암호화폐 논란을 일으킨 박상기 법무부 장관을 비롯해 산업부 장관은 유임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청와대는 이처럼 6개 부처를 대상으로 한 ‘중폭 개각’을 계획하고 개각 발표 시점과 대상을 놓고 막판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