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경질된 이유가 뭐냐는 질문에 황수경 전 통계청장이 내놓은 답변

입력 2018-08-28 07:10 수정 2018-08-28 09:02

“내가 그렇게 말을 잘 들었던 편은 아니었다.”

소득통계 표본 논란에 휩싸여 갑자기 경질돼 파문이 일고 있는 황수경 전 통계청장이 27일 정부대전청사 후생관에서 열린 이임식 후 이데일리와 가진 인터뷰에서 이 같이 말했다.

황 전 청장은 가계동향 조사 소득 통계 신뢰도 문제 때문에 경질된 것이냐는 질문에 “나는 사유를 모른다. 그건 인사권자의 생각일 것”이라고 답했다. 황 전 청장은 이임사에서도 “지난 1년 2개월 동안 큰 과오 없이 청장직을 수행했다”면서 “통계가 정치적 도구가 되지 않도록 심혈을 기울였다”고 말했다.

“통계청장을 수행하는 동안 통계청의 독립성, 전문성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중심을 잡으려고 노력해왔다”고 한 황 전 청장은 “그것이 국가 통계에 대한 국민 신뢰를 얻는 올바른 길”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최근 주장은 다를지언정 통계청이 공표하는 통계에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다”고 한 황 전 청장은 “그것을 기반으로 정치적 논쟁을 하는 것을 보면 나름 성과를 거뒀다고 생각한다”는 소회를 전했다.

앞서 청와대는 황 전 청장을 면직하고 강신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보장연구실장을 후임 청장으로 임명했다. 황 전 청장은 문재인정부 초대 통계청장으로 지난해 7월 임명됐다. 정통 관료 출신은 아니지만 국책연구기관에서 꾸준히 활동하며 노동시장에 대한 연구를 집중해온 인물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황 전 청장이 갑자기 경질되자 정치권과 관가 등에선 가계동향 조사를 둘러싸고 벌어졌던 논란 때문에 난 문책성 인사라는 해석이 나왔다. 통계청은 가계동향 조사 표본 가구를 지난해 5500여로 삼았지만 올해 8000개로 확대했다. 이로인해 소득이 낮은 가구가 상당수 포함되면서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소득이 한 해 전 보다 각각 8%, 7.6%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때문에 정부가 추진하는 소득주도 성장이 역효과를 내고 있다는 비판이 일었다. 더욱이 표본 대표성이 떨어지고 응답률이 낮다는 이유로 분기별로 발표하는 가계소득 통계를 지난해까지만 작성하기로 했지만 황 청장 취임 후 정치권과 학계 등의 요구를 수용하는 형식으로 올해도 계속하기로 방침을 바꿨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