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 리더십’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신임 당대표에

입력 2018-08-25 19:41 수정 2018-08-25 19:43

더불어민주당 신임 당대표에 이해찬 후보가 당선됐다. 민주당 대의원들과 권리당원들은 ‘강한 리더십’을 내세운 이 후보에게 대표직을 맡겼다. 연륜과 경험을 강조하며 흔들림없이 문재인정부 출범 2년차를 뒷받침하겠다는 이 대표의 메시지가 유효했다는 평가다. 신임 대표의 임기는 2020년 8월까지다.

이 대표는 25일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42.88%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송영길 후보와 김진표 후보를 따돌렸다. 송 후보와 김 후보는 각각 30.73%, 26.39%를 기록하는데 그쳤다.

이 대표는 당대표 수락연설을 통해 “우리 당과 문재인정부는 공동운명체”라며 “철통같은 단결로 문재인정부를 지키자”고 말했다. 이어 “적폐를 청산하고 사회개혁을 이뤄 촛불혁명의 위대한 정신을 발전시키자”면서 “제가 가장 앞장서 일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주제와 형식에 상관없이 5당 대표 회담을 조속히 개최하면 좋겠다”며 5당 대표 회담을 즉석에서 제안하기도 했다.

투표에 앞서 진행된 정견 발표에서 이 대표는 ‘마지막 소임’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이 대표는 “당대표를 제 마지막 소임으로 삼겠다. 더 이상 출마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사심이 없어야 공정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강한 여당의 모습도 강조했다. 이 대표는 “냉전 수구세력의 비난과 진보진영의 이탈에 (당이) 흔들리고 있다”며 “대통령님을 모시고 적폐청산과 사회개혁으로 나라다운 나라, 자랑스러운 민주당을 만들어 내겠다”고 말했다.

또 당의 역할을 강조하며 “저는 수구세력과 보수언론이 가장 불편해 하는 사람”이라며 “당이 안보인다는 말은 사라질 것이다. 당의 존재감이 커지고 보수의 정치공세를 단호히 막아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의 출마는 이번 민주당 전당대회의 가장 큰 변수였다. 당 안팎에서 이 대표의 출마 여부가 큰 관심을 끌었고, 이 대표는 장고 끝에 막판 출마를 선언했다. 이 대표가 출마를 선언하자 당 대표 출마를 포기한 이들이 있을 정도였다.

이 대표가 지난달 20일 기자회견을 열고 “유능하고 강한 리더십으로 문재인정부를 뒷받침해야 한다”며 당대표 출마를 선언하자 이른바 ‘이해찬 대세론’이 형성됐다. 김진표 후보는 경제당대표론, 송영길 후보는 세대교체론을 주장했지만 끝내 대세론을 허물지 못했다.

7선 의원인 이 대표는 민주당 계열의 정권에서 주요 직책을 두루 맡아왔다. 김대중정부에서는 교육부 장관, 노무현정부에서는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특히 노무현정부에서 강한 권한을 가진 ‘책임총리’로 면모를 보여 ‘실세총리’로도 불렸다. 2012년에는 민주당 전신인 민주통합당 당대표도 맡았다.

김판 신재희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