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유가가 고공행진을 벌이면서 지난달 한국의 교역조건이 3년 8개월 만에 최악으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은 24일 발표한 ‘2018년 7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을 보면 지난달 순상품교역조건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9.7% 하락한 92.94를 기록했다. 2014년 11월(92.40)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순상품교역조건 지수는 상품 1단위를 수출한 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뜻한다. 수출가격 대비 수입가격이 많이 오르면 교역조건 지수는 떨어진다.
교역조건 악화 원인은 유가 오름세로 인한 수입가격 상승이다. 6월 국제유가는 1년 전에 비해 58.4% 올랐다. 수입금액지수는 127.10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6.1%나 상승했다.
소득교역조건 지수는 145.79로 지난해 7월에 비해 1.6% 상승했다. 소득교역조건 지수는 수출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나타낸다. 순상품교역조건 지수가 가격 변동만을 고려하는 단점을 보완한 지표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호조를 보이면서 수출물량지수가 12.5% 상승한 데 따른 것이다. 수출물량지수는 지난해 9월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수입물량지수는 0.6% 올랐다.
세종=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