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등 야당이 24일 정부 여당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대한 맹공을 이어갔다.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전날 통계청이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조사에서 빈부격차에 따른 소득 격차가 커진 것을 두고 ‘소득주도성장을 더 철저히 추진해야 한다’고 밝히면서 공방은 종일 이어졌다.
김병준 비대위원장은 홍 원내대표의 발언이 나온 뒤 페이스북에 글을 통해 “진단도 처방도 엉망”이라며 “증상이 더 악화됐음에도 (정부여당이)처방한 엉터리 약을 더 쓰자고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기다려 보자는 것까지는 그렇다 치더라도, 증상이 나빠졌으니 쓰던 약을 더 써야 한다는 논리는 정말 참기가 힘들다”고 말했다.
윤영석 대변인도 이날 논평을 내고 홍 원내대표의 발언을 언급하며 “고용참사, 분배참사의 주된 원인이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있다는 점을 수많은 국내외 전문가, 언론이 지적했다”며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폐기하고 기업과 소상공인을 살리는 경제정책으로 대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윤 대변인은 “전문가들의 지적과 국민들의 목소리를 외면한 채 현실과 동떨어진 생각으로 경제를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면서 청와대 참모진과 장관들의 경질도 요구했다.
신보라 원내대변인은 “탁현민은 ‘첫눈이 오면 놓아주겠다’고 하더니, 장하성 정책실장은 ‘연말까지 두고보자’ 한다. 이 정부는 마치 겨울이 오면 무슨 기적이라도 생길 것처럼 한다”며 정부가 경제정책 기조를 전환 해야 한다는 당의 주장에 목소리를 보탰다.
바른미래당도 한국당과 한 목소리를 냈다. 김철근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세금 퍼주기 정책’, ‘탁상공론식 경제이론’으로 규정한 뒤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것처럼 국가정책을 확대할 것이 아니라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즉각 폐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우삼 기자s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