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8월 넷째 주(21~23일) 전국 성인 1001명에게 문재인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를 56%가 긍정 평가했고 33%는 부정 평가했으며 11%는 의견을 유보했다(어느 쪽도 아님 5%, 모름/응답거절 6%).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지난주 대비 4%포인트 하락, 부정률은 1%포인트 상승했다. 연령별 긍/부정률은 20대 67%/23%, 30대 67%/22%, 40대 63%/28%, 50대 47%/46%, 60대+ 44%/40%다.
지지정당별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 82%, 정의당 지지층에서는 69%로 높은 수준이지만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 지지층에서는 긍정률(14%·29%)보다 부정률(80%·61%)이 높았다.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無黨)층의 대통령 직무 긍/부정률은 32%/42%로 5주 연속 부정 평가가 앞섰다.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자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563명, 자유응답) '북한과의 관계 개선'(18%), '대북/안보 정책'(1%), '최선을 다함/열심히 한다', '서민 위한 노력/복지 확대'(이상 8%), '소통 잘함/국민 공감 노력'(7%), '외교 잘함'(6%), '개혁/적폐 청산/개혁 의지'(5%), '전 정권보다 낫다'(3%)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는 부정 평가 이유로(328명, 자유응답)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45%), '최저임금 인상'(11%), '대북 관계/친북 성향'(8%), '일자리 문제/고용 부족'(5%), '독단적/일방적/편파적'(3%) 등을 지적했다.
문재인 대통령 직무 긍정률 56%는 취임 이후 최저치, 부정률 33%는 최고치다. 직무 긍정률은 6월 지방선거 직후 79%에서 두 달간 지속적으로 하락해 지지난주(8월 둘째 주) 58%에 이르렀고, 지난주 60%로 하락세가 멈추는 듯했으나 이번 주 다시 하락했다.
광복절 전후 3차 남북정상회담 등 소식이 전해진 지난주는 긍·부정 평가 이유 양쪽에 대북·안보 이슈 비중이 늘었고, 이번 주는 부정 평가 이유에 경제·민생 관련 문제 지적이 더 많아진 점이 특징이다. 지난 금요일 통계청의 7월 고용동향 발표 이후 현 경제 상황 전반에 대한 정부 책임론, 소득주도 성장론에 대한 공방이 한층 거세졌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집전화 RDD 15% 포함)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 응답률은 13%(총 통화 7,497명 중 1,001명 응답 완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