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호 태풍 ‘솔릭’이 부산으로 이동 중이라는 기상예보에 부산 시민들이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당초 예상보다 남쪽으로 상륙하면서 부산은 비켜갔기 때문이다. 아울러 출근시간대 서울을 관통한다는 예보도 믿지 못하겠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23일 한국 기상청은 제주도에 위치한 태풍 ‘솔릭’이 시속 16㎞속도로 북북서 방향으로 이동해 이날 오후부터 24일 새벽 사이 부산에 상륙할 예정이라고 예보했다.
그러나 온라인 곳곳에선 예보가 믿기지 않는다는 반응이 이어졌다. 특히 부산 시민들 사이에선 “햇빛만 쨍쨍하다” “강풍은커녕 덥다” “부산에 태풍주의보가 내려졌지만 비도 안온다” 등의 불만이 쏟아졌다.
한국 기상청은 또 24일 오전 7시를 기준으로 서울에 진입해 오전 8시엔 가장 가까워질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오전 7시 현재까지 태풍으로 인한 강풍이나 폭우는 없는 상태다.
일본 기상청과 한국 기상청의 태풍 솔릭의 예상 경로도 다르다는 점에서도 시민들의 혼란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 우리 기상청은 24일 오전 6시 서울 남남동쪽 약 70㎞부근 육상을 지나 25일 청진동남동쪽 약 210㎞부근해상으로 빠져나갈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일본 기상청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을 태풍의 중심 경로에서 제외시켰다. 23일 오후 6시 전남 진도 앞바다에 진입해 24일 오전 6시쯤 충청도 내륙에 위치한 뒤 경북과 강원 지역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했다. 온라인 곳곳에선 “서울도 부산처럼 예보가 틀린 게 아니냐”는 의심이 나오고 있다. “출근길 비바람 분다는데 여전히 고요하다” “일본 기상청의 예보가 맞는 건가” 등의 반응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기상청은 상륙 가능성 등 위험요인에 더 가중치를 둬야 하기 때문이라는 입장이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태풍의 경로와 위력에 대해 피해가 우려되는 부분을 부각해 피해를 최소화 해야 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바다로 빠져 나간다는 예보는 최대한 신중하게 해야 하며 자국의 위험요인에 더 가중치를 두고 예보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