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주최하는 상상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알 수 있는 ‘2018 서울상상산업포럼’(Seoul Int'l Imagination Industry Forum 2018)이 오는 8월 24~25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디자인나눔관과 크레아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은 이번 행사는 상상산업과 관련한 국내외 대가들을 직접 만나보고 생각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문가 및 일반인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 만화와 애니메이션, 게임, VR/AR 및 뉴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가 융합하면서 상상산업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열린 행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 SBA, SAS, 시그래프아시아2018, 코리아그래프 후원으로 열리며 행사 기간 동안 컨퍼런스, 아카데미, 포럼 등 참가자들의 흥미를 이끌 만한 전문적인 풍성하게 내용들이 채워질 예정이다.
우선 첫째 날인 24일은 인공지능시대의 인간에 대한 새로운 상상을 주제로 컨퍼런스가 진행된다. 스페인 말라가대학교 인공지능학 교수인 프랜시스코 바코가 기조강연을 맡는다.
기조 강연에 이어 경희사이버대학교 정지훈 교수가 ‘인공지능과 창의성, 그리고 인간-인공지능 상호작용’에 대해, 리들리스콧 스튜디오 데이비드 카를락 감독이 ‘기술, 그리고 다가 올 스토리텔링의 전성기’를 주제로 강의를 이어 간다. 데이비드 카를락 감독은 영화 에이리런과 블레이드러너로 국내에도 잘 알려진 감독이다.
같은 날 오후 4시 30분부터는 마련되는 ‘상상스크린’에서는 ‘사실적 상상력이 영화적 상상력을 뛰어넘다’를 주제로 애니메이션 ‘언더독’을 놓고 관객과의 대화가 진행된다.
행사 둘째 날인 25일에는 총4개의 포럼이 각각 다른 주제로 열린다. ART(예술) 포럼에서는 가상현실 속 스토리텔링과 인터렉션이 주제이며, Biz(산업) 주제 포럼에선 지능형 웹툰의 현황과 미래를 다룬다. Edu(교육, 학술) 포럼의 주제로는 애니메이션과 포스트 휴먼이 선정됐으며, Tech(기술) 포럼 주제는 창의적 상상력과 실험적 시도의 교차점이다. 각 포럼별로 국내외 전문가들이 나서 관련 내용 발표와 패널 토의를 펼칠 계획이다.
24~24일에 걸쳐 아카데미도 마련된다. △크로키의 세계적인 대가 글렌빌푸의 ‘디지털 인체 드로잉’ △서울시 공정경제과 조일영 변호사, 미래산업전략연구소장 고정민 교수의 ‘만화·웹툰·애니메이션 분야 불공정 사례 공유 및 대응 방안’ △PLASTIEK의 대표 안드레 베르그스, PLASTIEK 소속, 디지털 코믹 만화가 타왓차이 춘하차이의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만화 창작’ △구글 애니메이터 마크오프달의 ‘만화 애니메이션 디자인’ 등 평소 접하기 힘든 내용들을 들을 수 있는 특별한 기회다.
이 밖에 2018 서울상상산업포럼에서는 상상산업 관련 기업들의 제품 전시 및 홍보의 자리도 접할 수 있다. 입장료는 무료이며,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