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통증은 나이가 들면서 무릎을 보호하는 주변 근육, 조직이 약해지는 현상으로 평소 쪼그려 앉거나 체중이 급격하게 증가한 경우 퇴행성관절염에 걸릴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릎 통증을 유발하는 질병은 반월상 연골 파열, 퇴행성 관절염 등이 있는데 반월상 연골 파열이란 등산이나 강도 높은 운동을 즐겨하거나 평소 스트레칭을 제대로 하지 않고 과격한 스포츠를 즐기는 경우 발생한다. 특히 무릎을 구부리거나 똑바로 걸을 때 통증을 유발하며 자주 붓는 것이 특징이다.
퇴행성관절염은 주로 앉았다가 일어날 때 통증이 심해지며 오랜 시간 걷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심해진다. 보통 무릎을 많이 사용하는 직종에 종사하는 경우, 중장년층에게서 자주 발생하고는 한다.
무릎 통증은 조기에 진단할수록 치료기간과 비용이 줄어들고, 회복이 빠른 편이다. 그러나 이미 상당 시간 질환이 진행된 경우에는 환자의 통증 정도, 증상에 따라 관절내시경 등의 시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관절내시경이란 무릎 관절 부위에 1cm 미만의 구멍을 내고 카메라가 달린 관절내시경을 삽입해 관절 상태를 모니터로 보면서 관절 속의 이물질과 손상된 연골을 정리하는 수술로 모니터를 통해 관절 속까지 확대해서 볼 수 있는 시술이다. 최소절개로 흉터가 거의 남지 않고, 절개 부위가 작아 빠른 시간 내에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으며 진단과 수술이 동시에 가능하며 입원기간과 비용이 줄어든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장안동 참튼튼병원 관절외과 권혁민 원장은 "무릎 통증 초기에는 물리치료, 약물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호전할 수 있다. 그러나 관절에 물이 자주 차는 증상을 호소하거나, 이미 질환이 많이 진행된 경우에는 관절내시경을 고려해볼 수 있다"며, "관절내시경은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부종과 통증이 있고,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등으로 효과가 없는 경우에 시행한다"고 말했다.
이어 "관절내시경은 진단과 수술이 동시에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관절내시경의 부작용은 통증, 붓기 등이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담 후 진행하는 것이 좋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