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재계가 우리 자동차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미국 정부의 ‘무역확장법 232조’ 적용 검토에 전면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과 유럽연합(EU)이 양자간 자유무역협정(FTA)인 경제연대협정(EPA) 발효에 서명하면서 우리 자동차업계가 연쇄 침체 위기에 처했다는 분석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통상지원단은 내년 초 일-EU EPA가 발효되면 일본산 제품 99%의 관세가 즉시 또는 순차 철폐돼 그간 EU 시장에서 무관세 혜택을 누리던 우리 기업 제품의 수출이 불리해질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보고서는 특히 주력 수출품목인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EU가 일본산 승용차에 부과하던 10%의 관세는 EPA가 발효되면 7년에 걸쳐 완전 철폐된다. 또 자동차부품 관세는 발효 즉시 철폐된다. 여기에는 엔진부품, 타이어, 소형승용차 등 일본과의 수출 경합도가 높은 품목이 많이 포함돼 있어 우리 자동차 업계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진단이다.
삼정KPMG 경제연구원은 이날 외부감사대상 자동차·트레일러 제조업 1277개 기업의 2013~2017년 재무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자동차 기업들의 평균 총자산증가율은 2.55%로 2014년 10.83% 이후 지속적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매출액증가율도 2014년 7.23% 이후 계속 하락해 지난해엔 0.32%에 그쳤다.
연구원은 “한국 자동차 산업은 단기 재무적 안정성이 점차 약화되는 가운데 성장 잠재력이 점차 둔화되는 추세”라며 “미국을 중심으로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면서 무역장벽이 더욱 강화되고 있고, 환경·안전 관련 규제 강화 추세 등도 수익성에 대한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전환기에 유연하지 않은 수직계열화가 오히려 한국 자동차 산업의 새로운 성장에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문제”라고 짚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
국내 자동차업계 전망 ‘먹구름’ 일색…“수직 계열화된 기존의 산업 생태계 과감히 전환해야”
입력 2018-08-21 1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