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교생 가운데 배우는 것 자체가 즐거워 공부하는 학생은 10명 중 3명 이하인 것으로 조사됐다. 고교생 대부분이 공부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내가 앞으로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서’ ‘좋은 직업을 가지기 위해서’ ‘돈을 많이 벌기 위해서’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21일 발표한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학습 동기와 학습전략, 학업 성과’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고교 2학년 학생 1만558명의 학습 동기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 다양한 학습 동기를 5점 척도로 나눠 ‘그렇다’(4점)와 ‘매우 그렇다’(5점)로 답한 학생의 비율을 집계한 결과 ‘내가 앞으로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서’ 공부한다는 학생이 87.9%로 가장 많았다.
‘좋은 직업을 가지기 위해서’(82.7%)가 뒤를 이었고, ‘돈을 많이 벌기 위해서’(74.6%)와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74.2%) 등 목표를 위해 공부한다는 학생이 많았다. 반면 내재적 동기로 분류되는 ‘배우고 익히는 것이 즐거워서’라는 응답은 28.9%에 불과했다. 이 밖에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시켜서’(20.3%), ‘친구들에게 무시당하기 싫어서’(24.2%), 또는 ‘경쟁 상대를 이기기 위해서’(22.9%) 등 불안감 때문에 공부한다는 학생들이 많았다.
교과목에 대한 흥미는 배움이 즐겁다는 집단의 학생(3.83점)이 가장 컸고, 보상을 얻거나 처벌을 피하려 공부한다는 집단(3.49점)이 가장 낮았다. 내신 성적도 배움 자체를 즐기는 학생(3.99등급)이 가장 좋았고, 보상을 바라거나 벌을 회피하려고 공부하는 학생(4.66등급)은 가장 낮았다.
직업능력개발원 연구진은 “학생들이 보다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사용해 학업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내재적이고 자발적인 학습 동기를 강화해줄 필요가 있다”며 “현 정부에서 강조하고 있는 고교 학점제, 자유학기제, 지역사회와 연계된 진로교육 및 체험활동 등의 내실 있는 운영을 통해 학생들 스스로 본인의 장래희망과 적성을 발견하고, 배움의 기쁨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신혜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