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적인 척추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직선이며, 옆에서 보았을 때에는 S자 형태로 앞으로 휘고(전만곡) 뒤로 휘어(후만곡) 있다. 하지만 척추측만증이 있는 경우에는 척추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옆으로 휘게 된다.
최근 성장기 청소년들에게서 이처럼 척추가 기형인 상태인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본인과 부모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1~2015년 진료정보를 분석한 자료를 보면 척추측만증 환자 중 44.4%가 10대 청소년이었다. 특히 13~16세의 성장기 청소년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우려를 보였다.
척추측만증을 정확히 표현하면 '척추 옆굽음증'이다.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대부분(85~90%)특정할 수 없으며, 이러한 경우를 특발성 척추측만증이라고 한다. 가장 많은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는 일반적으로 아무 증상 없이 척추의 기형만을 호소하게 된다.
드물게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요통을 가장 많이 호소한다. 측만증 환자의 요통은 정확한 빈도를 알기 어려우며 척추가 휜 부위나 휜 정도, 그리고 척추의 퇴행성 관절염의 정도와는 별로 관계가 없다고 알려져 있다.
청소년기 척추측만증의 발생 원인을 추정하면 바르지 못한 자세와 장시간 책상에 앉아있거나 굽은 자세로 스마트폰을 오랜 시간 사용하는 경우, 다리를 꼬는 습관, 무거운 가방을 들고 다니는 것 모두 원인이 될 수 있다.
장시간 불규칙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허리에 큰 부담을 준다. 불규칙한 자세로 인해 척추측만증 외에 허리디스크, 골반비대칭 등의 다양한 질환이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골반불균형으로 인해 하지부종, OX휜다리 등 까지 다양한 체형불균형으로 확대될 수 있어 청소년기의 척추측만증은 키 성장과 체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다. 때문에 척추측만증이 의심되면 한의원, 한방병원의 추나요법 등을 통한 정확한 치료와 바른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척추측만증 치료에 대해 분당구 금곡동의 메디추네트워크 분당미금역점 이주헌 원장(덕윤한의원)은 “척추측만증이 생기면 허리통증이나 다양한 체형불균형 그리고 성장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 있으므로 한의원에서 세밀하고 종합적인 검사를 받은 후 추나요법이나 침, 뜸 등의 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전했다.
이어 “추나요법은 단순한 증상개선이나 일시적인 통증을 감소하는 치료가 아니다”라며 “통증을 유발하는 척추와 관절 등의 구조적인 문제를 본래 정상적인 형태로 교정하고 근육, 근막 등의 주변조직의 기능을 개선하는 자세교정과 통증치료에 방점을 둔 치료방법이다”고 덧붙였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