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만 40여건 이상 차량 화재가 발생해 논란이 된 BMW가 오늘부터 리콜을 시작한다. 리콜 대상은 42개 차종 10만6000대 가량으로, 지금까지 이뤄진 수입차 리콜 규모 중 역대 최대 규모다.
BMW코리아는 20일 잇달아 화재가 발생한 520d 모델을 포함한 42개 차종을 대상으로 리콜 절차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BMW코리아 측은 지난달 27일부터 안전진단을 개시했는데, 이후 화재 원인을 EGR(배기가스 재순환장치) 부품으로 지목했다. 이번 리콜은 EGR을 교체하고 파이프를 씻는 방식이다. 회사 측은 연장 근무 등을 통해 올해 연말까지 리콜을 끝마치겠다고 밝혔다.
리콜 기간은 통상적으로 1~2년이 걸린다. 부품 수급 때문이다. 다만 이번 BMW 차량 리콜 규모는 수입차 리콜 사상 최대 규모인 점을 고려할 때 추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BMW코리아 측은 “사태가 중대한 만큼 독일 본사에서 EGR을 항공편으로 공수하겠다”며 부품 수급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리콜 절차가 시작되면 서비스센터를 비롯한 리콜 담당 기관이 포화 상태일 것으로 예상된다.
안전 진단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일단 안전 진단이 완전히 끝나지 않았다. 지난 18일 자정을 기준으로 9만8500여대가 안전 진단을 마쳤지만, 예약 중인 5000여대의 차량과 예약도 하지 않은 2400여대 가량의 차량이 남아있다. 또 지난 4일 전남 목포에서는 안전 진단을 받은 BMW 차량이 주행 중 엔진 부위에 화재가 발생하면서 안전 진단의 실효성에도 문제가 제기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4일 전국 각 지자체에 ‘안전 진단을 받지 않은 BMW 차량’에 대한 운행 정지 명령을 요청했다. 안전 진단에서 ‘점검 및 운행정지 명령서’를 받은 차량의 차주들은 서비스센터 방문 외 운행이 제한된다.
BMW 차량 소유자 일부는 “회사 측이 밝힌 화재 원인을 믿을 수 없다”면서 법적 절차를 밟고 있다. 올해 발생한 화재 차량 40여대 중 4분의 1 가량은 리콜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일부 화재 발생 차량 차주들은 “국토부 조사는 강제성이 없어 BMW가 증거를 은폐할 가능성이 있고, BMW 측이 차량 결함을 알고도 은폐했을 수 있다”며 지난 9일 BMW 측 관계자들을 고소했다.
긴급 안전진단을 받은 리콜 대상 차량의 차주들은 BMW 서비스센터에서 리콜 절차를 밟을 수 있다. BMW 서비스센터는 전국 61개 지점을 확보하고 있다.
김종형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