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오늘 수보회의서 ‘일자리 쇼크’ 입장 밝힐 듯

입력 2018-08-20 08:38 수정 2018-08-20 09:08
문재인 대통령이 7월16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뉴시스

‘일자리 쇼크’에 직면한 문재인 대통령이 수석비서관·보좌관회의(수보회의)에서 입장을 밝힐 것으로 전망된다. 20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2시 청와대 본관 여민관에서 수보회의를 주재한다.

문 대통령은 수보회의에서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고용동향’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입장을 표명할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은 지난 17일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 수가 5000명 증가에 그쳤다고 밝혔다. 이는 2010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최저 증가폭이다.

문 대통령은 경제공약 1호로 일자리 창출을 제시했다. 청와대 직속으로 일자리위원회를 신설하고 본인이 직접 위원장을 맡아 실시간으로 일자리 현황을 챙기고 있다. 일자리 정책이 실패할 경우 정치적 부담이 커지는만큼 이른 시간 내에 논란을 수습해야 한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7월12일 열린 경제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일자리 쇼크와 관련해 19일 열린 긴급 당정청 회의에서는 “일자리 예산을 더 투입하겠다”는 결론을 냈지만 문제에 대한 근본 원인과 대책에 대한 대답을 내놓지 못한 상태다. 당정청 회의에서는 일자리 쇼크의 원인이 최저임금인상 문제인 지를 놓고도 견해가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다.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은 “일자리 문제가 최저임금인상이 원인이라는 입증이 없다”고 밝혔다.

이때문에 문 대통령이 일자리 쇼크의 원인을 무엇으로 지목할지도 관건이다. 문 대통령 역시 최저임금 문제를 지적할 경우 최저임금인상으로 대표되는 소득주도성장 역시 존폐의 기로에 놓이게 된다. 문 대통령은 지난 13일 수보회의에서는 국민연금 문제를, 6일 수보회의에서는 기무사 문제를 언급한 바있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 첫날을 맞아 이에 대한 문 대통령의 언급도 예상된다. 문 대통령은 8월15일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이른바 ‘한반도 운전자론‘을 재차 확인하며 남북관계 발전에 대한 의지를 표명한 바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