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무인 대여 공공자전거 ‘따릉이’를 운영하고 있다. 시민의 건강, 이동 편의, 친환경, 공유경제의 일상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시행한 사업이다. 2015년 10월 여의도, 상암, 성수, 신촌, 사대문안에서 2000여대로 정식 출범했던 따릉이는 3년 뒤인 지금 2만여대로 늘었고 시내 대부분의 지역을 누빌 수 있을 만큼 확장됐다.
시민의 만족도는 높은 편이다. 다만 늘어난 이용자의 틈 속에 불편을 호소하는 목소리도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불편이 있을까. 기자는 17일까지 두 달 동안 따릉이를 출·퇴근길에 이용해 그 작은 틈새를 비집고 들어온 불편과 부작용을 찾아봤다.
따릉이 대여·반납 거치대 비양심 늘어
따릉이 대여소는 시내 전역 지하철 출입구, 버스정류장, 학교 등에 설치돼 운영되고 있다. 대여·반납은 장소에 구애 받지 않으나 대여소가 설치된 곳에서만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대여소에 개인 자전거를 거치하거나 대여소 앞에 오토바이를 주차하는 등 일부 시민들의 비양심적 행동으로 따릉이 이용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직장인 이모(20)씨는 따릉이 반납 때문에 예매한 버스를 놓친 경험이 있다며 불편함을 호소했다. 서울과 청주를 오가며 출퇴근하는 이씨는 매주 주말 동서울터미널을 찾는다. 이씨는 “서울 집과 동서울터미널까지 버스타기 애매한 거리라 따릉이를 자주 이용하는데 일부 비양심적인 사람 때문에 반납이 힘들다”며 “유난히 강변역 따릉이 대여·반납소에 개인 자전거를 거치하거나 오토바이가 주차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자가용 주차·침범… 자전거 전용 도로 불편 여전
자전거 도로 침범 차량에 4만원에서 최대 6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하지만 자전거 도로 침범 사례는 여전히 많다. 회사와 역의 거리가 멀어 출퇴근길에 주로 따릉이를 이용하는 직장인 소모(24)씨는 매일 아침 주객(主客)이 전도(顚倒)되는 상황을 겪는다.
소씨는 “자전거 전용 도로를 침범하는 차가 많아 무서워서 이용하기 꺼려진다”며 “심지어 인도보다 자전거 전용 도로에 사람이 더 많아 인도로 달린 적 있다”고 말했다. 따릉이의 규모와 비교했을 때 자전거 전용도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얘기다. 소씨는 “자전거 전용 도로에 차를 주차해 길이 끊기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고 덧붙였다.
고장난 따릉이 증가 “브레이크 고장난 걸 탔어요”
늘어나는 따릉이 이용객만큼 고장 사례도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시 자전거정책과에 따르면 따릉이 정비건수는 2016년 1만6688건, 2017년 2만8886건으로 매년 늘었다. 올해의 경우 4월까지 1만2025건으로 집계됐다.
등·하교길에 따릉이를 이용하는 대학생 박모(22)씨는 잦은 자전거 고장에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역에서 학교까지 가는 길에 내리막길이 많은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며 “한 번은 내리막길을 달리는 도중 브레이크 고장을 알게 돼 큰 사고가 날 뻔했다”고 말했다.
또 “사람들이 고장 신고를 제때 하지 않아 타고 나서야 브레이크 작동이 안 되는지 알게 된다”며 “고장난 자전거를 바로바로 확인·관리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글·사진=서현숙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