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진단 받은 BMW 차량서 또 불… ‘화재 원인’ 의구심 커져

입력 2018-08-17 15:12
지난 2일 강원 원주시 영동고속도로(강릉방향)에서 전소된 BMW 520d. 사진=강원지방경찰청 제공

안전진단을 받은 BMW 차량에서 또 불이 났다는 보도가 나왔다. 지난 4일 안전진단을 받은 지 사흘 만에 화재가 발생한 BMW 520d 차량에 이어 두 번째다.

17일 일요신문과 서울 광진소방서에 따르면 16일 오후 서울시 광진구 자양동에 있는 한 아파트 주차장에서 BMW GT차량 엔진룸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 차량은 이달 긴급 안전진단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소방서 관계자는 “BMW 차량에서 연기가 나고 있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해 현장을 진압한 이후 해당 차량을 성수에 있는 BMW 통합서비스센터로 입고했다”면서 “이날 국토교통부와 BMW코리아와 함께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할 예정이다”이라고 신문에 말했다.

BMW는 안전진단 이후 발생한 첫 번째 BMW 차량 화재에 대해 “직원의 단순 실수”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번 화재로 BMW 측의 화재 원인 분석과 안전진단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게 됐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앞서 BMW코리아는 연이은 차량 화재 원인을 배기가스재순환장치(EGR)의 문제라고 한정한 뒤 안전진단을 실시해왔다.

그러나 김현미 국토교통부장관은 “화재 원인이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인 EGR모듈에 문제가 있다는 데는 동의하지만 EGR만의 문제라는 BMW 측의 주장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며 “몇가지 의심가는 정황이 있다”고 밝혔다.

BMW 피해자모임 역시 BMW 측의 해명에 대해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해 ‘520d 차량에 대한 스트레스테스트 시행’과 ‘120d 차량 정지상태에서 에어컨 가동 시 화재 발생 여부 시뮬레이션 테스트’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에 화재 원인 불명 차량 분석 의뢰’ ‘유럽 520d 차량의 EGR 모듈과 국내 EGR 모듈 비교’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한 국토교통부의 시험 계획 공개’ 등 5가지 사항을 요구했다.

피해자모임은 또 하랄트 크뤼거 BMW 독일 본사 최고경영자(CEO), 요헨 프라이 BMW 독일 본사 홍보담당임원, BMW코리아 임원 등 3명을 자동차관리법 위반 혐의로 고소할 계획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16일 0시 기준 BMW 전체 리콜대상 차량 10만6317대 중 14.2%인 총 1만5092대가 안전진단을 받지 않았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