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취업자 증가 폭이 5000명에 그쳐 2010년 금융위기 이후 최악을 기록했다. 소득주도성장을 지속해서 유지하겠다는 문재인 대통령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지지율도 하락세를 나타냈다.
통계청은 17일 ‘2018년 7월 고용동향’을 발표하고 지난달 취업자가 2708만3000명으로 지난해 7월보다 5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실업자는 103만9000명으로 지난해 7월보다 8만1000명 늘었다. 실업자는 지난달에 비해서도 5000명 늘었다. 전체 실업률은 3.7%, 청년실업률은 9.3%로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취업자 수는 우리 경제 규모와 인구 요소 등을 고려할 때 30만명가량 증가해야 정상 수준으로 여겨진다. 지난 1월 33만4000명이던 취업자 증가 수는 2월 10만4000명으로 감소한 뒤 3월 11만2000명, 4월 12만3000명으로 약세를 보이다 5월 들어서는 급기야 10만명 선마저 무너진 7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6월에는 10만6000명 증가했지만, 7월 들어 5000명 증가를 기록하면서 바닥을 쳤다. 일부에서는 ‘금융위기 시절처럼 취업자 수가 오히려 감소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지난달과 마찬가지로 제조업과 교육서비스업은 부진한 모습을 나타냈다. 제조업 취업자는 12만7000명 줄어 4개월 연속 감소한 모습을 보였고, 교육서비스업 취업자 역시 7만8000여명이 감소해 기조를 이어갔다. 반면 정부 재정이 투입된 부문인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와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등은 취업자가 늘었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전반적인) 수출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지만 반도체 등 특정 업종에 몰려 있으며, 구조조정의 영향을 받은 선박이나 자동차는 실적이 좋지 않다”며 “이런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 감소가 전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경제정책 기조를 이끄는 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지지율은 각각 55.6%와 37.0%로 하락세를 보였다. 이는 여론조사 업체인 리얼미터가 지난 13~14일 전국 성인남녀 1005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다. 문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고,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지지율도 대선 이후 처음으로 40% 아래를 기록했다.
김종형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