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최근 논란이 된 불량 백신의 피해자가 당초 알려진 것의 2배에 달하는 48만여명으로 조사됐다. 중국 국무원은 민간백신업체인 지린성 창춘창성 바이오테크놀로지사의 불량 디피티(DPT·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사태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드러났다고 15일 밝혔다.
문제가 된 백신은 2개의 상품 번호로 대량 생산됐다. 먼저 25만2600개가 생산된 ‘201605014-01’ 백신은 5241개만 남기고 산둥성 지역으로 판매됐다. 이어 ‘201605014-02’ 백신은 24만 7200개가 생산돼 23만3900여개가 이미 사용됐다. 총 48만여명이 불량백신을 접종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국무원은 지난 2월부터 기준 미달 백신을 접종한 아이들을 대상으로 보충 접종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당국은 우선 201605014-01 백신 접종자 중 18만8490명(76.2%)에게 정상 백신을 재접종했다. 당국은 나머지 아이들을 상대로도 보충 접종을 지속할 예정이다.
이번 백신 파동은 지난달 15일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이 창춘창성 바이오테크놀로지를 불시 검사해 광견병 생산 기록 조작을 적발하면서 불거졌다. 나흘 후 창성바이오의 DPT 백신이 기준 미달인 채로 생산됐다는 사실이 추가로 공개되면서 파문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백신 논란이 끊이질 않던 차에 일어난 이번 사건은 중국을 강타했다. 지난해 12월 창춘창성 바이오테크놀로지가 만든 수두 백신을 접종한 영아가 3일 만에 사망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지면서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됐다. 지난달 31일에는 베이징에서 시위까지 열렸다. 분노한 백신 피해자 부모들이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청사 앞으로 몰려가 항의 시위를 벌인 것이다. 중국에서는 매우 드문 일이다.
사태가 심각해지자 리커창 총리는 “이번 사안은 인간의 도적적 마지노선을 넘은 것”이라면서 엄중 처벌을 약속했다. 공안 당국이 창춘창성 대표와 고위 간부 4명을 입건해 조사한데 이어 증권관리감독위원회도 별도의 조사를 벌이고 있다. 강도 높은 조사가 진행되던 지난 1일에는 이 사건에 연루된 산둥성 질병예방통제센터 면역관리소장이 자살을 시도하기도 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