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광역버스 폐선철회 “인천시 폐선시 공영제로 전환 추진”

입력 2018-08-16 14:20 수정 2018-08-16 14:55
박준하 인천시 행정부시장이 16일 광역버스 운행업체들이 폐선신청을 자진철회함에 따라 이를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인천=정창교 기자

인천시 관내 광역버스 기사들이 16일 오전 9시쯤 인천시청앞에서 버스기사의 임금을 시내버스 수준으로 상향해 줄 것으로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인천=정창교 기자

인천시가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의 폐선을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을 밝힌 데 대해 광역버스 사업자들이 폐선을 자진철회하고 자구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한발 물러섰다.

박준하 인천시 행정부시장은 16일 오후 1시30분쯤 인천시청 기자회견실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광역버스 폐선 신청에 대해 박남춘 인천시장이 업계와의 면담에서 폐선을 수용하고 공영제로 전환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한 결과 광역버스가 폐선을 자진철회해 시가 이를 받아들였다”고 설명했다.

앞서 광역버스 업체들은 운송 적자와 경영악화를 이유로 지난 7일 ㈜마니교통 등 광역버스 6개 업체와 준공영제 전환 및 재정지원을 요구하며 인천시청 앞에서 집회를 시작했다.

지난. 9일에는 6개 업체 19개 노선 259대의 광역버스 노선에 대한 폐업허가를 제출했으며, 요구사항인 재정지원 등이 관철되지 않으면 오는 21일부터 전면 폐업 및 광역버스 운행중단을 선언했다.


시는 그러나 광역버스들이 폐선을 원할 경우 언제든지 버스와 기사 전체에 대해 100% 이관을 받아 직접 운행하겠다는 입장이어서 광역버스 업체가 요구한 적자분 23억원을 시민 세금으로 지원하는 협상은 더이상 없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당초 업체에서는 올해와 내년 적자분 각각 23억원을 지원하고, 2020년부터 완전준공영제를 실시할 것을 요구했다. 또 출근시간대에 조조할인을 통해 560원을 감면해주는 제도를 폐지해 줄 것을 요구했다.

시는 광역버스 업체가 승객감소와 교통체증으로 차량 순환이 어려운데다 기사 신규 채용이 어려워 적자 상황을 개선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광역버스 업체가 적자분 23억원 중 10억원 정도라도 지원해줄 것을 요구했으나 이마저도 거부했다.

시관계자는 “광역버스 업체가 흑자노선만 운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으나 적자노선도 폐선시 시민들이 불편을 겪기 때문에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준공영제 기사와 광역버스 기사의 월급차이에 대해서는 시가 직접 운영시 2~3년내에 준공영제 수준으로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