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시선이 멈춘 곳 ‘대한민국 관보 1호’

입력 2018-08-15 17:26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보수 야당에서 제기되고 있는 건국절 논란을 의식한 듯 관보 1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대한민국이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표했다.

문 대통령은 15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열린마당에서 거행된 ‘제73주년 광복절 및 제70주년 정부수립 기념 경축식’에 참석한 뒤 특별전시를 관람했다. 1945년 일본 외상이 항복문서에 조인하는 모습을 담은 사진, 포츠담 선언의 내용이 담긴 매일신보 등 사료 가치가 높은 전시물들을 두루 살펴봤다.

1948년 9월 1일 발행된 '대한민국 관보1호' 사진. 뉴시스

전시물을 살펴보던 문 대통령의 시선은 1948년 9월 1일에 발행된 ‘대한민국 관보 1호’에서 멈췄다. 문 대통령은 “여기 관보를 보면 (날짜가) 대한민국 30년 9월 1일로 돼 있다”며 “이것은 굉장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러니 여기에 설명을 잘 달아주는 게 중요하다”며 “당시 우리 정부의 뜻이 그러했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의 이 발언은 1948년 당시 이승만정부도 대한민국 건국일을 임시정부 수립일인 1919년으로 봤다는 것을 강조해, 보수 야당에서 제기된 건국절 논란을 반박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보인다.

자유한국당은 정부 수립일과 건국일을 같은 날로 봐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최근 국회에서 ‘건국 70주년’ 세미나를 개최하며 건국절 논란을 재점화 했다. 아울러 15일 국회에서 심재철 의원 주도로 '대한민국 건국 70주년 기념식'을 별도로 열기도 했다.

윤영석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문재인 정부의 역사관이 의심스럽다”며 “건국 과정의 엄연한 역사를 애써 외면하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건국’이라는 사실마저 부인하는 문재인 정부의 역사 인식과 그 의도가 무엇인가”고 비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4일 청와대에서 열린 독립유공자와 유가족 초청 오찬행사에서 “2019년은 대한민국 건국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입니다”라며 건국절 논란을 일축했다. 문 대통령은 '제73주년 광복절 및 정부수립 70주년 경축식' 경축사에서 ‘건국’을 언급하지 않았다. 소모적인 논쟁을 피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박태환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