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절날 국회서는 건국절 설전…여야 서로 “너의 역사관은 무엇이냐”

입력 2018-08-15 15:15 수정 2018-08-15 15:33

제73주년 광복절을 맞은 15일 정치권에서는 대한민국의 건국 시점을 두고 설전이 있었다. 여야는 상대방의 역사관에 문제가 있다고 비난하며 공방을 벌였다.

윤영석 자유한국당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문재인정부의 역사관이 염려스럽다”며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건국이라는 사실(史實)마저 부정하는 문재인정부의 역사 인식과 의도가 무엇이냐”고 물었다.

윤 대변인은 “문재인 대통령은 ‘1919년 건국일’을 언급하며 정부수립 70주년 기념행사는 별도의 대통령 메시지도 없이 축소 개최하려 한다”며 “국론분열을 부추기고 국제적 승인을 받은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인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정부 스스로 부정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더불어민주당은 “한국당이 해묵은 이념 논쟁을 시도하고 있다”며 반발했다. 백혜련 대변인은 “광복절을 갈등의 장으로 만들어 보수 세력의 결집을 꾀하는 것은 아닌지 심히 유감스럽다”며 “대한민국은 매우 중요한 기로에 놓여있다. 국익과 국가의 미래를 위해 백해무익한 논쟁이 아닌 생산적인 비판과 발전적인 협력을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열린마당에서 열린 광복절 기념행사에 참석해 “오늘은 광복 73주년이자 대한민국 정부수립 70주년을 맞는 매우 뜻 깊고 기쁜 날”이라고 말했다. ‘정부수립’이라는 중립적인 표현을 사용해 건국절 논란을 피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바른미래당은 거대 양당이 소모적인 논쟁거리로 입씨름을 벌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수민 원내대변인은 “건국절 문제로 우리끼리의 입씨름에 정신 팔려 있는 동안 일본은 끝까지 가해자(加害者)로서의 책임과 반성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