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남북이 하나의 경제공동체를 이룰 때 진정한 광복을 맞을 수 있다”고 말했다. 평화와 번영을 이룰 남북의 자주와 협력에서 광복의 의미를 찾았다.
문 대통령은 15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열린마당에서 열린 제73주년 광복절 및 제70주년 정부수립 기념 경축식에 참석해 독립유공자와 유족에게 경의를 표한 뒤 “친일은 결코 우리 역사의 주류가 아니었다. 독립투쟁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치열했다. 광복은 밖에서 주어진 것이 아닌 선열들의 죽음을 무릅쓴 싸움으로 이겨낸 결과”라고 밝혔다.
이어 “대한민국은 우리 국민 모두가 각자의 자리에서 힘을 보태 함께 만든 나라다. 정부 수립 70주년을 맞는 오늘, 대한민국은 세계적으로 자랑스러운 나라가 됐다”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식민지에서 해방된 국가들 가운데 우리나라처럼 경제성장과 민주주의 발전에 모두 성공한 나라는 없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세계 10위권의 경제 강국, 촛불혁명으로 되살린 민주주의 국가로서 우리나라의 높아진 위상을 강조하면서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남은 과제로 지목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지금 운명을 스스로 책임지며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향해 가고 있다. 분단을 극복하기 위한 길”이라며 “분단은 전쟁 이후에도 공포를 일상화했다. 많은 젊은이들의 목숨을 앗아갔고, 막대한 경제적 비용과 역량 소모를 가져왔다. 경기도와 강원도의 북부는 개발이 제한됐고 서해 5도에서 풍요의 바다를 눈앞에 두고도 조업할 수 없다. 분단은 대한민국을 대륙에서 단절된 섬으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반드시 분단을 극복해야 한다. 정치적 통일은 멀었을지 몰라도 남북 간에 평화를 정착시켜 자유롭게 오가며 하나의 경제공동체를 이루는 것, 그것이 우리에게 진정한 광복”이라며 “나는 국민과 함께 그 길을 담대하게 걸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미국, 유럽, 중국, 러시아, 일본 정상의 지지와 협력을 바탕으로 ‘판문점 선언’을 이행할 의지를 다시 한 번 드러냈다. 그는 “이틀 전 남북 고위급회담을 통해 ‘판문점 회담’에서 약속한 가을 정상회담이 합의됐다. 나는 다음달 우리 국민의 마음을 모아 평양을 방문한다.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종전선언, 평화협정으로 가기 위한 담대한 발걸음을 내딛을 것”이라고 다짐했다.
또 “완전한 비핵화와 함께 한반도에 평화가 정착돼야 본격적인 경제협력이 이뤄질 수 있다. 평화경제, 경제공동체의 꿈을 실현시킬 때 우리 경제는 새롭게 도약할 수 있다. 우리 민족 모두가 함께 잘 사는 날도 앞당겨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문 대통령은 국책기관의 연구를 인용해 개성공단 및 금강산 관광 재개, 유라시아대륙의 동맥이 될 철도 연결, 지하자원 개발 사업 등 남북 경제협력에서 앞으로 30년 간 얻을 효과를 최소 170조원으로 내다봤다. 이를 바탕으로 동북아 국가들과 미국에 ‘동아시아철도공동체’를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경의선과 경원선의 출발지였던 용산에서 나는 오늘, 동북아 6개국과 미국이 함께 하는 동아시아철도공동체를 제안한다. 이 공동체는 우리의 경제 지평을 북방대륙까지 넓히고 동북아 상생번영의 대동맥이 돼 에너지공동체, 경제공동체로 이어질 것”이라며 “동북아 다자평화안보체제로 가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 “한반도 평화와 번영은 우리가 어떻게 하는지에 달렸다. 낙관의 힘을 믿는다. 광복을 만든 용기와 의지가 우리에게 분단을 넘어선 평화와 번영이라는 진정한 광복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