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만국가정원 시민 무료 입장 논란···의회·시민단체 반발

입력 2018-08-14 15:59 수정 2018-08-14 16:10
순천만국가정원에서 펼쳐지고 있는 워터라이팅쇼. 국민일보DB

전국 첫 국가정원으로 지정된 순천만정원에 대해 조만간 순천시민들에 한해 무료입장이 결정될 것으로 보여 논란이 일 전망이다.

허석 순천시장의 선심성 포퓰리즘 행정이라는 지적과 함께 올해 첫 흑자로 돌아선 순천만국가정원이 다시 수억원의 적자를 면치 못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순천시는 지난달 30일 부시장 주재로 간부회의를 열고 허 시장의 공약 중 하나인 ‘순천만국가정원 순천시민 무료입장 방안’을 검토해 추진키로 의견을 모았다고 14일 밝혔다.

순천만국가정원의 순천시민 유료 입장객은 지난 한 해 동안 14만1008명으로 집계되면서 3억8000여만 원의 입장료 수입을 올렸다.

입장료 수입에는 연간권을 구매한 순천시민 1만3250명의 입장료 1억3000여만 원도 포함돼 있다.

순천시는 지난 4월 2300만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개장 4년 만에 처음으로 흑자로 돌아서면서 시 차원에서 대대적인 홍보를 펼쳤다.

하지만 순천시민 무료입장이 시행될 경우 다시 3억6000여만 원의 적자로 돌아서게 된다.

여기에 시설개선 투자 등 실제 시에서 투입한 예산과 공무원 인건비 등을 더하면 누적 재정 적자가 수백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순천시의 이 같은 결정이 임박해지자 순천시의회와 시민단체들은 당장 반발하고 나섰다.

순천시의회 한 초선 의원은 “유료 관광지를 무료로 돌리는 것은 선심성 퍼주기, 포퓰리즘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해당 의원은 “현재로도 적자 운영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한 관광지들이 재원 조달 계획도 없이 무료입장부터 검토하는 것은 앞뒤가 뒤바뀐 행정”이라며 “조례 개정 등 예산이 수반되는 문제인 만큼 의회와 소통이 먼저”라고 지적했다.

순천YMCA 김석 사무총장은 “공원 관리비용 등이 세금으로 쓰이고 있는 상황에서 무료화 한다는 건 포퓰리즘 아니냐”며 “공무원 인건비도 다 세금이고 운영비가 개선되지 않은 상황에서 진단 없이 추진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꼬집었다.

순천환경운동연합 김태성 사무국장도 “선심성 공약이라고 판단하고 추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대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허 시장의 공약 이행을 위해 회의에 참석해 무료입장안에 찬성한 간부공무원들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4년여 전 의회 일각에서 무료입장 얘기가 나왔을 때만 해도 절대 불가하다고 목소리를 높이던 간부 공무원들이 시장이 바뀌자 곧바로 입장을 바꿔버린 것에 소신도 없이 눈치보기에만 급급하다는 것이다.

순천시 한 공무원은 “행정은 시장이 가자고 해서 가는 것이 아니고 간부공무원들의 올바른 의견이 한데로 모아져서 펼쳐지는 것이 시민을 위한 참 행정”이라고 말했다.

순천=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