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49·본명 김동원) 일당의 댓글조작 관련 특검팀 수사가 이뤄지는 가운데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이 김경수 경남지사에 대한 구속 사유가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12일 페이스북(하태경의 라디오하하)에서 “구속 판단에 있어 제일 중요한 이유는 증거 인멸과 도주 우려인데, 김 지사의 경우 도주 우려는 없어도 증거 인멸 우려는 충분하다”며 “김 지사는 지금까지 드루킹에 자문받았는지 여부, 만남 시기와 횟수 등에 수차례 거짓말을 해왔다”고 했다. 이어 “상습적인 거짓말쟁이는 자신의 거짓이 들통나지 않기 위해 증거 인멸 유혹을 강하게 느끼는 법이고, 판사는 그래서 거짓 진술자에 대체로 (구속) 영장을 발부한다”고 덧붙였다.
드루킹은 지난 5월 공개한 옥중편지와 이후 특검팀 진술을 통해 김 지사와 지속적인 만남 및 댓글조작 지시·청탁이 있었으며, 김 지사를 상대로 한 댓글조작 프로그램 시연이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 지사는 지난달 16일 “‘킹크랩(댓글조작 매크로)’이 뭔지는 언론 보도를 보고 처음 알았다” “소설 같은 이야기”라며 일축했다. 지난 4월 의혹이 처음 발생했을 때도 “드루킹과 수시로 연락을 주고받지 않았고 느릅나무 출판사(댓글조작이 이뤄진 장소)에는 두 차례가량 방문했고 댓글조작 시연은 본 적이 없다”고 했다.
하지만 특검팀 수사가 진행되면서 김 지사가 느릅나무 출판사를 3~4차례 방문했다는 점이 드러났고, 보안용 메신저를 이용한 ‘기사 홍보’ 요청과 ‘재벌 개혁’ ‘개성공단 2000만평 개발’ 등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는 점이 포착됐다. 하 의원이 글을 올린 이날도 김 지사는 “드루킹에게 센다이 영사를 제안한 것은 아니지만 인사 추천은 했을 수도 있다”고 했다. 이 입장 번복은 특검팀에서 통신내역을 확보하고 꺼내보인 직후 이뤄졌다. 이에 야권에서는 ‘김 지사가 말 바꾸기를 한다’는 비판과 함께 오는 25일 종료되는 특검 기한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
이에 하 의원은 “김 지사는 지금까지 해온 거짓말도 사과하지 않았다. 자신의 거짓말을 반성하지 않는다는 것은 계속 거짓말할 의지가 있는 것으로 보일 수밖에 없다”며 “김 지사는 자신의 유무죄를 다투기 전에 자신의 거짓말에 대해 국민께 석고대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드루킹 댓글조작사건 공모 혐의로 특검에 소환돼 두 차례 조사를 받았다. 특검은 김 지사를 상대로 한 혐의 입증에 집중하는 한편, 드루킹과 관련된 청와대 비서관들을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김종형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