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불탄 BMW… 회사는 ‘쩔쩔’ 차주들은 ‘부글’

입력 2018-08-12 10:13 수정 2018-08-12 18:18
9일 오전 7시55분께 경남 사천시 곤양면 남해고속도로에서 2011년식 BMW 730LD 차량에서 차량결함(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결함)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해 차량이 전소됐다. 경남경찰청 제공

정부가 14일까지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BMW 리콜 대상 차량에 대해 ‘운행정지명령'을 내리겠다는 초강수를 두자 BMW에 초비상이 걸렸다. BMW 차량 차주들도 불안에 떨고 있다.

12일 뉴시스와 업계 등에 따르면 BMW는 10만6000여대에 이르는 리콜 차량에 대해 하루 평균 1만대씩 안전진단을 진행하고 있다. 한정된 인력으로 끊임없이 밀려드는 차량의 안전을 진단하는 것도 문제지만 ‘렌터카’ 수급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BMW코리아 관계자에 따르면 안전진단서비스를 시작한 후 하루 평균 9000건 정도의 진단 예약이 매일 새로 들어오고 있다. 차량을 입고시킨 고객들의 상당수는 수리기간에 이용할 렌터카를 원하고 있다.

밀려드는 렌터카 수요를 맞추기 위해 각 지역 렌터카 업체들에 협조 공문을 보내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다. 현재도 렌터카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운행정지 명령이 현실화되면 더 큰 혼란을 겪을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 관계자는 "자동차보험 표준약관에 따르면 같은 배기량의 차량을 제공하게 돼있어 5시리즈(2000cc급)와 같은 배기량인 K5 등의 국산차가 나가는 경우가 꽤 많다"며 "동급 수준의 수입차를 원하는 고객들이 국산차를 거부하는 경우도 있어 그로 인한 공급 부족 현상도 있다"고 뉴시스에 말했다.

BMW코리아에 따르면 현재 차량 진단을 맡긴 차주들에게 제공된 렌터카는 약 3000대 정도다.

관계자는 이어 "만약 국토부가 발표한 운행정지가 실제로 이뤄진다면 BMW 차주들이 렌터카를 타야 할텐데 그렇게 되면 렌터카 수요가 폭증하는 만큼 공급이 못 따라가 상황이 악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BMW 화재 사고가 계속되고 있는 10일 오전 서울 시내 한 BMW 서비스센터가 점검을 받으려는 차량들로 붐비고 있다. 뉴시스

BMW 차주들도 불안에 떨고 있다. 잇단 화재로 공포가 커지면서 운행을 중단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무서워서 못타겠다며 차량을 세워두고 있다는 글이 이어지고 있다.

주차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BMW 리콜차량이나 리콜 대상이 아닌 차량에 대해서도 주차를 제한하는 주차시설이나 아파트 단지들이 늘어나고 있다. 진입을 금지하는 주차타워와 외부인 BMW 차량에 대해 주차를 금지하는 아파트의 안내문이 속속 온라인 상에서 주목받고 있다.

보배드림 캡처

김현미 국토부장관은 지난 8일 "오는 14일 이후부터 안전진단이나 부품교체를 못 받은 BMW 차량은 운행을 정지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BMW 차량 운행정지에 대해 "현행법상 운행정지 명령 불이행은 1년 이하 징역, 1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물릴 수 있다"며 "다만 이번 사례에도 일률 적용하는 것은 가혹할 수 있어 차주가 운행정지된 차량을 몰다가 사고를 낼 경우 수사기관에 고발을 한다든지 하는 방법으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11일 오후 2시께 인천 중구의 한 운전학원 인근에 주차된 BMW 120d 승용차량의 조수석에서 불이 나 차량 일부가 불에 탔다. 불이 난 BMW 차량은 정부의 리콜대상 차종으로 확인됐다. 올 들어 발생한 BMW 화재는 80여 건으로 운전자 부주의처럼 차량 결함과 관계 없는 경우를 제외해도 72건이나 된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