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미관세 리스트서 원유 제외…대응카드 떨어졌나?

입력 2018-08-10 13:13 수정 2018-08-10 13:15
미국과 중국의 국기를 합성한 모습. 위키피디아 커먼스

미국과 관세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이 원유를 보복관세 목록에서 제외했다. 중국의 대미 대응 카드가 떨어졌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이 25%의 보복 관세를 물리기로 한 16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 리스트에 당초 포함됐던 원유가 돌연 배제됐다고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원유는 중국이 미국의 중국산 제품 관세 부과에 대응해 보복하는 핵심적인 관세 부과 대상 가운데 하나였다. 중국 상무부는 원유를 관세부과 대상에서 제외한 이유는 밝히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WSJ은 중국이 경제성장 둔화와 원유수입에 대한 의존도를 고려해 재검토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AMP 캐피털 마켓의 애널리스트인 셰인 올리버는 WSJ에 “중국 경제는 원유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원유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제 발등을 찍는 것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은 지난해 미국 원유 수출의 약 5분의 1을 차지할 만큼 지난 2년 사이 미 원유 수출의 최대 수입국 중 하나로 떠올랐다. 특히 중국은 미국의 저유황 중질유를 저렴하게 사들였는데, 유황이 많아 긴 정유 과정이 필요한 중질유에 맞게 정유공장도 개선해 왔다. 중국이 미국 원유에서 손을 떼더라도 중질유 시장은 다른 아시아 국가들로 바로 채워질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미국의 이란 핵합의 탈퇴에 따른 제재 복원과 연관돼 있다는 관측도 있다. 오는 11월 이란 원유에 대한 미국의 제재가 복원되더라도 중국이 이란산 원유를 계속 수입하기 위해 정지작업을 벌인다는 분석이다. 미국 석유 시추업체인 캐너리 LLC의 최고경영자인 댄 에버라트는 “미국 원유에 관세를 더하면 중국이 미국으로부터 이란원유 수입 면제를 얻을 가능성이 작아진다”며 “미국 원유에 대한 고율관세 부과는 미국을 더 자극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