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발생한 제14호 태풍 ‘야기’의 진로를 놓고 관심이 뜨겁다. 일본말로 ‘염소’를 뜻하는 이 태풍은 비교적 작은 규모로 알려져있어 피해는 주지 않되 더위를 식혀주는 이른바 ‘효자 태풍’이 될 것으로 기대하는 시각도 있다.
10일 기상청의 태풍 예보를 보면 야기는 11일 일본 오키나와 동남동쪽 부근 해상에 진출한 뒤 북북서쪽으로 진행, 13일에는 제주도 서귀포 서남서쪽 320㎞ 부근 해상까지 진출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후 14일 오전에는 백령도 서남서쪽 310㎞ 해상까지 진출한 뒤 15일 함경도 신의주에 상륙한 뒤 소멸될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보고 있다.
한반도가 태풍의 영향권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는 시점도 14일 오전부터로 전망됐다. 현재까지의 예상은 14일에 백령도와 신의주가 직접 영향권에 들어가게되고, 태풍의 이동경로 변동에 따라 충남 서해안 지역과 수도권, 경기북부 및 강원북부 지역까지 영향권에 들어갈 수 있는 것으로 기상청은 예상했다.
태풍이 경로를 틀어 한반도에 직접 상륙할 경우 비와 강풍 피해가 예상된다. 태풍 야기는 중심기압이 994 hPa, 중심부근 최대풍속이 19.0 m/s로, 풍속을 기준으로 봤을 때 열대저기압(17m/s 미만) 수준을 조금 넘어선 바람3급 태풍이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