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훼손’ 논란 제주 비자림로 도로확장 공사 일시 중단

입력 2018-08-09 17:03
환경훼손 논란이 일면서 공사가 일시 중단된 제주 비자림로 도로확장 공사

삼나무숲 가로숫길로 유명한 제주시 구좌읍 비자림로 도로확장 공사에 대한 환경 훼손 논란이 이어지면서 제주도가 공사를 일시 중단했다.

제주도는 구좌·성산읍 지역주민의 숙원사업인 도로확장의 필요성과 주변 삼나무숲 군락에 미치는 환경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재검토해 조만간 최종 입장을 발표하겠다고 9일 밝혔다.

제주시 조천읍 대천동 사거리에서 금백조로 입구까지 2.9㎞구간에 걸쳐 진행되는 이 사업은 급증하는 제주 동부지역의 교통량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2일부터 시행됐다.

도는 2015년 11월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2016년부터 편입 토지에 대한 보상에 착수해 45억원을 투입, 72필지(11만8016㎡) 중 54필지(8만8903㎡)에 대한 보상을 완료했다.

총 사업비 207억원을 들여 2022년 공사가 완료되면 현재 2차선인 이 구간은 4차선(폭 21m) 도로로 확장된다.

하지만 공사가 시작되자 환경훼손 논란이 거세지며 시민단체의 반발에 부딪혔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지난 7일 성명서를 내고 “제주도가 동부지역의 교통혼잡 해소를 위해 시작한 도로확장 공사로 인해 훼손되는 삼나무 수만 2400여 그루에 이른다”라며 “공사로 인한 실효성은 낮고 주변환경 및 경관 훼손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은 또 “이 도로는 다른 곳에 비해 정체되는 도로라고 보기 어려우며 공사가 끝나는 지점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커 오히려 혼잡 구간이 길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이 지역 도로공사 확장이 당장 필요한지, 공사 후 효과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제주도의 도로건설 정책은 도가 내세우는 미래 비전의 철학과 환경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정책”이라며 “지금이라도 당장 공사를 중단하고 숲길을 보전하면서 사업의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토지 보상이 75%가량 진행된 만큼 사업 백지화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삼나무 훼손이 불가피한 부분이 있지만 10년간 이어진 지역주민의 숙원사업인 만큼 신중한 검토를 통해 최선의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