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전 경기지사가 “(문재인 대통령이) 임종석을 비롯하여 비서들을 김일성주의자들로 계속 채우고 있다”며 비판했다.
김 전 지사는 8일 페이스북을 통해 이같이 밝힌 뒤 “(임종석 비서실장은) 말이 운동권출신이지 사실 ‘위수김동(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 사상을 학습하고, 통일의 꽃 임수경을 평양으로 보내 감옥살이까지 하지 않았냐?”고 주장했다.
이어 김 전 지사는 “청와대 비서관급 이상 참모 중 전대협(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등 운동권 출신이 23명(36%)이다. 임 비서실장이 관장하는 비서관급 이상 31명 중에는 19명(61%)가 운동권 출신이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나도 운동권 출신이지만 김일성 사상을 존경해 본 적은 없다”고 밝혔다.
임수경 방북 사건은 1989년 6월 30일,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임수경이 평양 세계청년학생축전에 전대협 대표로 방북해 46일 뒤 판문점을 통해 입국한 사건이다. 임 비서실장은 당시 전대협 의장으로 이 사건에 연루돼 징역살이를 하다 김대중 전 대통령에 의해 특별 사면 됐다.
또 김 전 지사는 “여기에 문제가 있습니다”며 네 가지 문제점을 제시했다. 김 전 지사는 “첫째, 이들은 대한민국이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임을 부정한다” “둘째,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 헌법정신을 부정하려고 한다” “셋째, 문재인 대통령은 이미 ‘적폐청산’이라는 선동용어를 동원하여, 대통령 2명, 국가정보원장 4명을 감옥에 집어넣고 기무사를 해체했다” “넷째, KBS, MBC 방송사들, 언론노조를 앞세워 (언론을) 홍위병 식으로 장악했다”고 주장했다.
김 전 지사가 청와대의 사상을 문제 삼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김 전 지사는 지난 5월 3일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에서도 문 대통령이 “제가 존경하는 한국의 사상가 신영복 선생”이라고 한 점을 거론하며 “신영복은 명백히 간첩인데, 대통령이 이런 말을 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故 신영복 교수는 육군사관학교 강사로 있던 1968년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체포돼 무기징역을 선고받아 복역하던 중 1988년 전향서를 쓰고 20년 만에 석방됐다. 신영복 교수는 감옥에서 보낸 편지를 묶어 퍼낸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이 큰 반향을 일으키며 경제학자로서 뿐만 아니라 서예가로도 명성이 높았다.
박태환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