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의 해수욕장이 안전사고 대응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소비자원은 6일 기초 지방자치단체가 지정·관리·운영하는 ‘지정 해수욕장’ 15곳과 비지정 해수욕장 5곳 총 20곳에 대한 안전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20곳 중 비지정 해수욕장 4곳에는 안전요원과 동력 구조 장비가 없어 안전사고 즉각 대응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 해수욕장 중 8곳(지정 4곳·비지정 4곳)에 감시탑이 설치돼 있지 않아 안전요원의 넓은 시야 확보가 어려웠으며, 5곳(지정 1곳·비지정 4곳)에는 물놀이 구역 부표가 설치돼 있지 않아 이용자가 깊은 수역으로 나아갈 수 있는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됐다.
화장실 및 샤워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이용자가 불편을 겪는 경우도 있었다. 20곳 중 5곳(지정 2곳·비지정 3곳)은 탈의시설이, 2곳(모두 비지정)에는 화장실·샤워시설 모두 설치돼 있지 않았다.
특히, 화장실이 설치된 18곳 중 4곳(모두 지정)은 장애인·노인 등 취약자 전용 화장실이 설치돼 있지 않았으며 5곳(지정 4곳·비지정 1곳)에 응급상황 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비상벨이 설치돼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부처에 해수욕장 안전관리 강화, 비지정 해수욕장 안전기준 마련, 해수욕장 편의시설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을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현숙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