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의 컨트롤타워를 맡고 있는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만나 세 가지를 당부했다. 다만 삼성의 대규모 투자·고용 계획은 ‘투자 구걸’ 논란을 의식한 듯 발표하지 않았다.
김 부총리는 6일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에서 마중을 나온 이 부회장과 악수한 뒤 방명록에 “우리 경제발전의 礎石(초석) 역할을 하며 앞으로 더 큰 발전하시길 바랍니다”라고 적었다. 이어 이 부회장과 삼성임원들에게 관계부처 차관들을 소개한 뒤 “혁신, 성장” 구호를 외치며 단체 사진을 촬영했다. 한국경제의 컨트롤타워와 국내 최대 기업 총수가 ‘혁신성장’에 대한 서로의 의지를 확인한 순간이었다.
김 부총리는 이후의 간담회에서 “취임 후 경제 활력과 역동성을 제고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하기 위해 기업의 목소리를 겸허히 듣고, 정부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 고민해왔다”며 간담회 개최 배경을 설명했다.
또 “우리경제는 굉장히 중요한 전환기를 맞았고 패러다임을 바꾸는 시기여서 대표주자로서의 삼성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혁신성장, 동반성장, 패러다임 구축 관련 세 가지 당부를 전했다.
김 부총리는 먼저 “미래 성장동력을 만들고 발전시키는데 (삼성의) 선도적인 역할이 중요하다”며 미래 성장 동력 개발을 위한 삼성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산업의 인프라 기술에 해당하는 플랫폼 경제 활성화에 정책적 역량을 쏟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동반성장을 위해 삼성이 힘써줄 것을 당부했다. 김 부총리는 “(삼성이) 동반성장의 모범을 만들고 확산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주기 바란다”며 “협력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세계시장 진출을 위해 삼성이 가진 네트워크를 통한 판로개척, 인력양성, 기술개발에도 힘을 보탰으면 하는 기대를 갖고 있다”고 당부했다.
마지막으로 김 부 총리는 이병철 초대 회장의 ‘호암자전’을 언급하며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삼성을 역할을 당부했다. 김 부총리는 “창업자가 쓰신 호암자전을 보면 사업을 운영할 때 중요한 핵심 포인트 첫 번째가 국내외 정세변동에 대한 적확한 통찰이다”라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지금 경제는 굉장히 중요한 전환기로, 경제환경과 틀의 변화에 선제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삼성이 미래담론과 미래대비 등에 대한 다양한 얘기를 많이 나누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삼성 측에서는 윤부근 삼성전자 부회장이 인사말을 전했다. 윤 부회장은 “혁신성장에 열정을 쏟고있는 부총리와 간담회를 가져 매우 뜻 깊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기업의 혁신노력과 적극적 투자와 결함하면 어떤 도전도 미래를 여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김 부총리의 대기업 현장 소통의 다섯 번째 순서로 진행됐다. 김 부총리는 대기업의 혁신성장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LG그룹, 현대차그룹, SK그룹, 신세계그룹을 앞서 차례로 방문했다.
박태환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