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지는 가마솥 더위 속에 전국 곳곳에서 시민들을 잠 못 들게 하는 열대야도 계속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기상청 관측 이래 최고 기온이 경신되며 가장 무더운 나날을 맞이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장시간 에어컨을 사용하는 가구가 많아지면서 전기요금 ‘폭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당장 이번 주부터 지난달 쓴 전기요금 고지서가 각 가정으로 전달되기 시작한다.
5일 한국전력에 따르면 7월 중순부터 시작된 폭염 기간에 사용한 전기에 대한 청구서가 이번 주부터 본격적으로 발송된다. 한전은 한정된 인력 때문에 월별 검침을 같은 날 다 하지 못하고 7차례에 나눠 하기 때문에 검침일에 따라 청구일이 다르다.
7월 25∼26일 검침한 가구는 8월 6∼10일에 청구서를 받게 된다. 7월 말에 검침한 가구는 8월 11일이 청구일이다. 폭염이 시작된 7월 중순부터 에어컨을 장시간 사용한 가구는 전달보다 요금이 눈에 띄게 증가했을 가능성이 크다.
전기요금 폭탄을 우려해 ‘한국전력 전기요금계산기’를 사용하는 시민들도 급증하고 있다. 한전에 따르면 해당 사이트의 ‘사용제품 요금계산’ 메뉴로 들어가면 에어컨에 표시된 소비전력과 하루 사용시간 등을 입력해 예상 전기요금을 예측할 수 있다. 일례로 월평균 전기요금이 2만원인 가정이 소비전력 1kw의 에어컨을 하루 8시간씩 틀면 한 달 전기 요금은 6만5000원 가량 더 늘어난다.
정부와 여당은 8월에도 재난 수준의 폭염이 계속되고 전기요금 우려가 커지자 주택용 전기요금 부담을 줄일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르면 이번 주 안에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마련한 여러 방안 중 국민이 체감하기에 가장 효과가 있고, 전력 수급이나 한전 실적 등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방안을 선택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낙연 국무총리가 지시한 취약계층에 대한 ‘제한적 특별배려’부터 소상공인과 다자녀 가구, 대가구 등 전기를 많이 사용할 수밖에 없는 계층의 부담을 경감할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누진제 자체를 개편하는 것은 세밀한 분석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해 이번 검토에서 제외했지만, 과거처럼 한시적으로 누진제 구간별로 할당된 사용량을 늘리거나 요금을 인하하는 방식 등을 고려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도 지난 1일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정책위의장이 언급한 전기요금 부가세 환급에 대해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혜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