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쿱생협이 체내 축적된 유해물질의 총량을 줄이는 ‘바디버든(Body burden)’ 캠페인 결과, 일주일간의 생활실천으로 체내독소(바디버든)가 대폭 감소한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생활 속 유해물질을 회피하는 아이쿱생협의 ‘바디버든 줄이기 캠페인’에는 4월부터 6월까지 총 472명이 참여했으며, 일주일간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유해물질 노출을 줄이기 위해 친환경유기농 식재료 이용, 세제‧화장품‧개인위생용품‧식기류 등 친환경 제품 사용, 손 씻기, 환기, 청소하는 등을 실천했다. 또 물 마시기, 식이섬유 섭취, 유기농 현미 섭취, 압착유채유 이용, 패스트푸드 및 인스턴트 식품 피하기, 유산소 운동도 함께 했다.
일주일 간 유해물질 회피생활 후 체뇨검사를 통해 유해물질 변화를 관찰한 결과, 체내 바디버든이 큰 폭으로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경성 페놀류는 전체 평균 72% 감소했다. 페놀류 중 파라벤 군 3종은 70~81% 감소했으며, t-부틸페놀은 75%, 벤조페논은 66% 감소 수치를 나타냈다. 가장 많은 감소 폭을 나타낸 물질은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 감열지 재질의 영수증에 쓰이는 비스페놀A로 89% 감소했다.
프탈레이트류는 전체 평균 2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대사산물 3종은 9~22% 감소폭을 나타냈고, 디부틸프탈레이트(DBP)는 20% 낮게 나타났다. 두드러지게 감소한 물질은 화장품에 쓰이는 디에틸프탈레이트(DEP)로 43% 감소했다. 주목할 점은, 2015년 환경부에서 발표한 한국시민 프탈레이트 농도 대비 바디버든 체험자 전체 평균은 36% 낮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평소 친환경 식품과 생활용품을 사용해 온 결과로 해석된다.
김동희 아이쿱소비자활동연합회 캠페인 국장은 “유해물질 회피 체험을 통해 개인의 노력으로 체내 환경호르몬을 줄일 수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했다. 하지만 제품의 성분표시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소비자 알 권리를 위해 제도적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한편 바디버든 줄이기 캠페인은 2017년 처음 시작, 현재까지 소비자 총 967명이 참여했다. 식품 및 생활 습관으로부터 환경호르몬 노출을 줄이고, 배출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공유하는 캠페인을 통해 체내 유해물질 수치를 낮춘 결과를 매년 도출해 내고 있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