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여종업원 북송’ 요구가 지속되는 가운데 통일부가 류경식당 종업원들이 자유 의지로 탈북했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30일 브리핑에서 집단 탈북 여종업원 사건에 대해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그 사항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거나 평가할 사항은 없다”고 밝혔다.
류경식당 종업원 집단탈북 사건은 2016년 4월5일 20대 총선을 앞두고 중국에 있는 북한 식당인 류경식당에서 지배인과 여성 종업원 등 13명이 집단 탈북한 사건이다. 지난 5월 한 방송사에서 류경식당 지배인으로 일했던 허강일씨를 인터뷰한 이후 ‘당시 여권에서 총선용으로 류식당 종업원 탈북사건을 기획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기도 했다.
북한 측도 해당 보도 이후 지속적으로 여종업원에 대해 송환을 요구하고 있다. 북한 선전용 매체인 우리민족끼리와 노동신문 등은 지난 23일 “우리 여성공민들의 송환문제가 시급히 해결되지 않으면 일정에 오른 북남사이의 흩어진 가족, 친척상봉은 물론 북남관계에도 장애가 조성될 수 있다”며 “말끝마다 과거 적폐를 청산한다고 떠들며 도처에 수술칼을 들이대는 남조선 당국이 이 ‘기획탈북사건’에만은 손대는 것을 꺼려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하는 등 공세를 취해왔다. 이에 국내 일부 인권 단체에서는 “탈북자를 다시 돌려보낸다는 것은 사형선고”라고 반발하기도 했다.
통일부는 지속적인 발표를 통해 ‘종업원들은 자유 의사로 입국했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이 부대변인의 이날 입장표면 이전에도, 지난 11일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도 “(종업원들이 자유 의사로 입국했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간 종업원과 관련해 당사자들이 가족 안위 등을 감안해 본인 의사가 공개되는 것을 꺼려왔고 그런 상황에서 현황을 명확히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부대변인은 “우리 부는 그동안에도 인권위 측의 요청에 따라 지속적으로 협조를 해왔다”고도 덧붙였다.
김종형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