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방‘이 ‘폭식’ 조장?…‘비만 대책’에 뿔난 ‘먹방’ 제작자들

입력 2018-07-27 12:34 수정 2018-07-27 13:17
사진 = MBC 방송화면 캡처

“그렇게 따지면 모든 방송이 조장 방송 아닙니까?”

유튜브에서 구독자 2만명 가량을 보유하고 있는 A(34)씨는 ‘먹방규제’ 등이 포함된 보건복지부의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유튜브와 아프리카TV 등의 방송 플랫폼에 음식과 일상을 주제로 영상을 만들어 내보내고 있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24일 ‘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2022년까지 이어질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을 확정해 발표했다. ‘대책’에는 4가지 안이 포함돼 있는데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교육 강화 및 건강한 식품 소비 유도 ▲신체활동 활성화 및 건강 친화적 환경조성 ▲고도비만자 적극 치료 및 비만관리 지원 강화 ▲대국민 인식 개선 및 과학적 기반 구축의 4가지다.

‘먹방규제’는 첫 번째 항목(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교육 강화 및 건강한 식품 소비 유도)에 포함돼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해당 항목을 보면 “음주행태 개선을 위한 음주 가이드라인, 폭식 조장 미디어(TV, 인터넷방송 등)·광고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모니터링 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라고 돼 있다.

A씨는 27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정부에서 ‘먹방’ 콘텐츠를 ‘폭식 조장 미디어’로 낙인찍었는데 이는 ‘먹방’의 순기능은 보지 못하고 역기능만 확대해석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먹방’은 역기능도 있지만 보통 사람들의 식습관과 생활을 알고 공감하는 차원에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에 따르면 식욕을 일으키기보다는 식욕을 억제하기 위해 ‘먹방’을 구독하고 시청하는 사람들이 대다수다. 그는 “개인적으로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 성인물을 보는 것처럼 ‘먹방’도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며 “다이어트 중인 사람들이 ‘먹방’을 보고 대신 먹는 것에 대해 대리만족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이어 “먹어보지 못한 음식을 보고 ‘아, 이건 안 먹어본 음식인데 먹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는 경우는 있어도 정부 발표처럼 폭식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먹방’을 ‘폭식 조장 미디어’라고 하는데 그렇게 따지면 모든 방송이 조장 미디어”라면서 “국회 방송은 싸움 조장 미디어고, 예능 프로그램은 상대적 박탈감 조장 미디어인가”라고 반문했다.

최근 ‘먹방’ 관련 콘텐츠들이 많이 등장하면서 이에 대한 비판 여론도 높다. 다 비슷비슷한 형식과 내용을 가지고 있어 ‘지겹다’는 것이다. A씨는 이런 비판에 대해서도 “‘먹방’의 인기를 이끄는 것은 결국 시청자고, 다수 시청자들의 수요에 맞으니 ‘먹방’이 인기를 끄는 것이다. (먹방이) 다 같아 보이지만 그 같아보이는 것에도 크리에이터의 개성이 녹아 있는 것”이라며 “‘먹방’이 싫다면 보지 않으면 된다. 보지 않는 사람들이 늘어난다면 방송 시장이 알아서 반응할 텐데 정부에서 나서서 정책을 입안할 것까지는 없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의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 발표 이후 인터넷 공간에는 “먹는 것에 대해서도 국가가 나서는 것은 개인의 자유 침해다” “냉면이나 맥주 먹는 거 홍보하는 건 청와대가 앞장서지 않았나” “국내만 규제해서 되느냐” 등 비판적 여론이 들끓었다. A씨 외 다른 ‘먹방’ 제작자들 역시 자신의 방송 일부 발언을 통해 “먹방규제는 옳지 않다”는 견해를 밝혔다.

논란이 심해지자 보건복지부는 해명에 나서기도 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26일 “먹방규제를 법으로 하는 것은 불가능”이라며 “폭식 조장 방송으로 인해 국민 개인 건강을 해치고 비만이 될 우려가 많기에 이에 대한 해로움을 알려 방송사 및 인터넷 방송 업체가 자정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종형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