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댐 사고 70여명 사망… 전력사업 과욕이 부른 참사?

입력 2018-07-26 09:51 수정 2018-07-26 09:53
라오스 남동부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소 보조댐 사고가 발생한 24일 홍수로 집을 잃은 이재민들이 보트를 타고 대피하고 있다. 라오스 당국에 따르면 이번 사고로 발생한 이재민은 1300가구, 약 6600명이다. AP뉴시스


200명 실종… 3000명 고립
“전력생산 늘려 수출 박차” 라오스 정부 댐 건설 속도전
생태계 파괴·안전성 논란


라오스 남동부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소 보조댐 사고로 인한 사망자가 70명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력 수출을 성장동력으로 삼아 ‘동남아시아의 배터리’로 도약하겠다던 라오스 정부의 과욕이 참사를 불렀다는 지적도 나온다.

베트남 온라인 매체 VN익스프레스는 25일 라오스 댐 사고로 최소 70명이 숨지고 200명이 실종된 것으로 알려졌다고 라오스 당국을 인용해 보도했다. 라오스 비엔티안타임스에 따르면 홍수로 최소 3000명이 고립돼 구조를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통룬 시술릿 라오스 총리는 기자회견에서 최소 26명이 사망하고 131명이 실종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번 사고 원인이 댐의 붕괴인지, 범람인지는 규명되지 않았다. 라오스 통신(KPL)은 24일 당국을 인용해 댐이 ‘붕괴(collapse)’됐다고 보도했다. 라오시안타임스와 비엔티안타임스 등 현지 영문 언론은 25일부터 ‘범람’을 뜻하는 ‘overflow’나 ‘crest’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외신과 환경단체들은 라오스 정부의 무리한 댐 건설이 이번 사고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한다. BBC방송 등에 따르면 라오스는 메콩강 본류와 지류에 수력발전소 46개를 가동 중이며 2020년까지 54개를 추가 건설할 계획이다. 수력발전소 100개를 동시에 돌려 전력 생산량을 현재의 배 수준인 2만800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것이다. 라오스는 전력 생산량의 3분의 2를 태국 등 주변국에 수출하고 있다. 라오스 정부의 댐 건설 계획은 농어민 생존권 침해, 생태계 파괴, 댐 안전 문제 등 논란을 일으켰다. 국제 환경단체 인터내셔널리버의 마우린 해리스는 BBC에 “이번 사고는 라오스의 댐 건설과 관리 능력을 의심케 한다”고 말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