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이 섭씨 1도 상승할 때마다 자살률이 0.68%에서 2.1%까지 높아질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기후변화로 인한 고온 현상이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밝혀낸 것이다.
마셜 버크 미 스탠퍼드 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등은 미국과 멕시코에서 예년과 달리 기온이 높았던 시기에 자살률도 오르는 경향을 보였다고 23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 발표했다.
연구는 미국과 멕시코의 수십년에 걸쳐 수집된 기온과 자살률에 대한 통계를 비교 분석하는 방법으로 이뤄졌다. 그 결과 미국은 월 평균 기온이 섭씨 1도 올라갈 때마다 자살률이 0.68%, 같은 조건에서 멕시코는 2.1% 높아졌다. 미국의 경우 1968년부터 2004년까지 스스로 목숨을 끊은 85만1088명, 멕시코는 1990년부터 2010년까지 61만1366명에 대한 데이터에 근거한 결과다.
연구 과정에서는 빈곤 수준, 계절성 우울증, 모방 자살을 초래할 수 있는 유명인의 자살 등도 고려됐지만, 그러한 변수와 관계없이 비정상적으로 더운 시기에 자살률이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버크 교수는 “기온과 자살률 간 상관관계를 알아내는 것은 중요하다”며 “자살은 모든 종류의 폭력을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사망자를 내고 전 세계에서 사망 원인 중 10~15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최근 지구 온난화의 여파로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는 기록적인 고온현상에도 우려를 표했다. 버크 교수는 “기후변화 때문에 자살률이 약간만 올라도 건강에 대한 국가적 부담이 커진다”며 “특히 상대적으로 높은 자살률을 보이는 잘 사는 나라가 더 큰 충격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폭염이 지속되면 SNS상에서 우울함을 표출하는 경우가 늘어난다는 점도 드러났다. 해당 연구팀이 2014년 5월부터 2015년 7월까지 트윗 6억2천개를 분석한 결과, 월 평균 기온이 1도 오르면 ‘우울한’ ‘외로운’ ‘자살’과 같은 부정적인 단어가 0.36~0.79% 더 많이 언급됐다. 또 기후 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이 지속되면 미국과 캐나다에서만 지금보다 자살이 9000~4만 건 더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실업률이 1% 올라갈 때 일어나는 자살보다 높은 수치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