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박선원 전 상하이 총영사가 국가정보원장 특별보좌관으로 내정된 것에 대해 답보 상태인 북·미 간 비핵화 협상에서 돌파구를 찾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3일 “박 전 총영사는 노무현 정부에서 (비서관을 맡아) 6자회담과 비핵화, 북핵문제를 실질적으로 다뤘다”며 “당시 정동영 통일부장관은 박 전 영사에 대해 꾀주머니라는 표현도 썼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당시 6자회담과 핵 문제가 교착상태에 빠질 때마다 박 전 영사가 능력을 발휘해 돌파한 경험들이 있다”며 “그런 측면에서 지금 비핵화와 안전보장 문제 등 북·미 회담이 중차대한 국면에서 박 전 영사를 필요로 했다”고 덧붙였다.
박 전 총영사는 노무현 정부 시절 서훈 당시 국정원 3차장과 함께 물밑에서 2차 남북 정상회담을 추진하는 등 대북 정책을 주도했다. 지난 대선 당시에는 문재인 대통령 선대위 안보상황단 부단장을 맡아 서훈 당시 안보상황단장과 함께 일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 초기 청와대 안보실 차장 또는 국정원 차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됐지만, 지난 1월 외교부 재외공관장 인사 때 특임공관장 가운데 한 명으로 상하이 총영사에 임명됐다. 통상 총영사의 임기가 2∼3년이란 점에서 박 전 총영사가 6개월 만에 사퇴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김 대변인은 박 전 총영사의 ‘이른’ 사퇴가 주재국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는 주장에 대해 “대사와 영사는 성격이 다르다”고 일축했다. 김 대변인은 “대사는 주재국의 아그레망을 받고 직접적 외교관계를 하지만 총영사는 교민 관리 등 업무 성격이 전혀 다르다”며 “그런 의미에서 아그레망이 있는 것도 아니기에 주재국에 대한 예의 차원과는 성격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