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정부, 해병 순직에 도리 다했나…사고 조사·책임 규명 철저히 해야”

입력 2018-07-23 15:12
사진 = 뉴시스

유승민 바른미래당 전 공동대표가 지난 17일 발생한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 추락으로 순직한 장병들에 대해 예를 표하면서 사고에 대해 철저히 진상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린온 헬기 사고로 추락한 장병들에 대한 영결식은 23일 오전 9시30분에 시작돼 두 시간 동안 진행됐다. 영결식에는 송영무 국방부 장관과 심승섭 해군참모총장 등 군 관계자와 유 전 공동대표를 비롯해 하태경, 박명재, 김병기, 정종섭, 김종대 의원 등 정치권 인사들이 참석했다. 유 전 공동대표는 영결식이 끝난 뒤인 이날 오후 1시경 페이스북에 ‘군인의 죽음에 대하여’라는 글을 게시했다.

그는 “고 김정일 대령, 고 노동환 중령, 고 김진화 상사, 고 김세영 중사, 고 박재우 병장의 명복을 빕니다”라며 “오열에 잠긴 유가족분들을 보면서 눈물을 참을 수 없었습니다.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라고 유족에 위로를 전했다.

유 전 공동대표는 사고 원인 조사위원회에 대해서 언급하며 “사고 원인을 조사할 조사위원회가 유가족 분들이 원하는 대로 중립적으로 구성돼 사고의 원인과 책임을 철저하게 밝혀주기를 바라고, 나도 끝까지 지켜보면서 돕겠다”고 했다.

이어 청와대와 국방부 대응도 문제삼았다. 유 전 공동대표는 “우리는, 국가는 이들의 죽음에 대해 마땅히 해야 할 도리를 다했는지 묻고 싶다. 사고 하루 뒤에 청와대가 ‘수리온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하고, 사흘 뒤에 국방부 장관은 ‘유족들이 의전에 흡족하지 못해 짜증이 나신 것’이라고 했다”며 “청와대와 장관이 참혹한 현장을 봤더라면, 동영상을 봤더라면 잠깐이라도 유족들의 말씀을 직접 들어봤더라면 결코 할 수 없는 말들이다. 나라를 지키다 산화한 해병들을 이렇게 대해도 되나”고 지적했다.

앞서 유족들은 청와대와 국방부 등 군 당국의 사고 대응에 대해 문제삼기도 했다. 사고 직후에는 별 대응이 없다가 여론이 집중되자 뒤늦은 수습에 나섰다는 것이다. 실제로 국방부는 사고 다음 날인 18일 브리핑을 준비했다가 돌연 취소했고, 국방부는 사고 발생 후 이틀이 지난 뒤 문재인 대통령의 애도 발언이 있고 난 후에야 유족들에게 전하는 글을 발표했다. 이후 유족들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정부 측이 책임있는 답변을 하지 않을 경우 장례절차를 진행하지 않겠다고 반발하기도 했다.

이날 영결식장에서 청와대 측 인사가 쫓겨나기도 했다.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국방개혁비서관은 유가족 측의 강력한 항의와 반발로 영결식장에서 발길을 뒤로 했다. 당시 유가족들은 “종이로 하는 애도 표현이 청와대가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성의표시였다”며 “공식 조문 일정은 어제로 끝났고, 우리는 그런 사람을 엄숙한 영결식에 들일 수 없었다”는 입장을 냈다.

유 전 공동대표는 “해병들의 죽음은 그들 자신을 지키기 위한 게 아니라 우리 모두를, 나라를 지키기 위한 죽음”이라며 “해병들이 국가의 부름에 답했을 때 국가는 그에 걸맞는 보답을 해야 하지 않겠냐”고 했다. 이어 “국가의 부름에 기꺼이 자식을 내어준 부모가, 남편과 아빠를 잃은 아니와 아이들이 그 죽음이 헛되지 않았다고 느끼지 못한다면 국가는 왜 존재합니까”라고 물었다.

또 “해병의 고귀한 죽음에 대해 대통령과 국방장관, 이런 사람들이 진심으로 예우하는 모습을 꼭 보고 싶다”며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고 책임을 규명해서 다시는 이런 억울한 죽음이 없도록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대한민국이 정의가 살아 숨쉬는 나라다운 나라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종형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