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권의 중·고등학교 한국사 국정교과서에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진 ‘역사교과서 보조교재'가 오는 2학기부터 활용된다. 전북도교육청 주도로 세종․광주․강원 등 4개 교육청이 공동 제작에 착수한 지 2년 6개월만이다.
전북도교육청은 중·고교 역사교과서 보조교재 편찬 작업을 마무리하고, 도내 일선 학교와 직속기관 등에 보급했다고 20일 밝혔다.
보조교재는 중학교용 ‘주제로 보는 역사'와 고등학교용 ‘주제로 보는 한국사' 등 2권이다. 각 263쪽과 395쪽 분량으로, 한국사를 공부하는 중 2와 고 1 학생 교실에서 자율적으로 사용된다. 보조교재 집필에는 교수 13명과 교사 22명 등 총 35명이 참여했다.
이들 책은 애초 국정교과서에 대응한 대안 교과서의 성격으로 출발했다. 그러나 박근혜 정권 퇴진으로 국정교과서 추진이 철회되면서 기존 교과서를 보완하는 개념이 강화됐다. 기존 교과서가 역사적 사건을 시대순으로 나열하는 편년체 형태를 띠는 데 반해 인권, 평화와 같은 주제들을 중심으로 역사 해석을 시도한 것이 특징이다.
전북도교육청은 추가로 초등학생용 역사 보조교재를 편찬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김승환 교육감은 “우리 아이들이 이 교재를 통해 역사적 사실을 단편적으로 기억하기보다 스스로 질문을 던지면서 당시의 시대적 문제를 인식하고, 사회와 구성원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생각해 보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