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공공기관 ‘엉터리’ 시험…채용비리 의혹 벌써 잊었나?

입력 2018-07-18 21:06 수정 2018-07-19 08:53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경기 고양시 산하 고양지식정보산업진흥원 신입 공채 필기시험에서 감독 및 관리가 미흡했다는 응시자들의 반발이 잇따르고 있다. 논란이 확산되자 진흥원은 사과문 게재 후 재시험을 치르겠다고 밝혔다.

18일 응시자들에 따르면 지난 11일 고양시 여성회관에서 치러진 신규 공채 필기시험은 시험 시작부터 엉터리로 진행됐다. 당초 오전 10시 시험이 시작될 예정이었으나 1시간 뒤로 늦춰졌고, 신분증 검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신분증 검사는 대리 시험을 막기 위한 필수 절차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일부 시험감독은 시험이 치러지기 직전 입실 중인 수험생들이 보고 있는 곳에서 시험지를 출력했다. 시험지도 배부 시간도 시험장마다 들쭉날쭉 달랐다. 시험문제도 A·B형으로 나눠져 있었지만 사실상 별 차이가 없었다는 주장도 나왔다.

일부 응시생들은 시험지를 받지 못해 항의했더니 감독관이 100대1의 경쟁률을 언급하며 불만이 있으면 나가라는 식으로 답해 모욕감을 느꼈다고 주장했다.

이번 사건은 진흥원이 한국사회교육개발원에 필기시험 진행을 위탁하면서 생겼다. 문재인 정부가 공정성 제고를 위해 블라인드 채용 정책을 세우면서 진흥원이 외부 업체에 시험진행을 위탁하게 됐다. 진흥원은 시험대행 측과 사전준비과정에서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진흥원과 개발원의 미숙한 시험 진행 때문에 수험생들만 애꿎은 피해자가 됐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한 응시자는 “정부가 공정한 채용을 위해 표준화 시험까지 도입했는데 제대로 해결되지 않을 경우 내정자가 있다는 의혹을 떨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재인 정부 블라인드 채용정책에 따로 올해 처음 국가직무능력표준(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 기반한 필기시험이 도입됐다.

진흥원 관계자는 “정부 방침에 따라 채용 비리를 예방하고자 현장진행과 채점 등 모든 일체의 과정을 외부 업체에 위탁했으나 불미스러운 일이 벌어져 매우 유감”이라며 “깊은 책임을 통감한다”는 내용의 사과문을 16일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재시험 결정을 고지했다.

김혜수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