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무 국방부 장관의 ‘기무사 계엄령 문건’ 대응 논란과 관련해 정치권에서는 송 장관의 경질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17일 “송 장관이 더 이상 신임을 받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국방부 장관 직위를 유지하며 업무를 계속해 나가긴 쉽지 않은 상황이다”라며 사실상 경질을 요구했다.
김 원내대표는 오전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제는 청와대가 이 문제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발표하고 (송 장관의) 거취 문제에 대해서 답을 해야 한다”며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그는 “(계엄령 검토 문건을) 외부에 공개하기 쉽지 않다는 점을 인정하더라도 최소한 내부에서 감찰을 하든 진상파악을 하든지 하는 절차는 있어야 했다”고 강조했다.
송 장관은 지난 9일에도 용산 육군회관에서 열린 성고충전문상담관 간담회에서 “여성들이 행동거지라든가 말하는 것을 조심해야 한다”고 했다가 여성 비하 논란을 일으켰다. 야권은 거세게 비판하며 송 장관의 사과와 사퇴를 요구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이 문제에 대해 특별수사를 지시하고 송 장관에게 증거자료 제출까지 요구한 것은 부적절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정치적 의도를 의심하고 있다. 윤영석 자유한국당 수석대변인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현재 대통령과 청와대가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독립수사단이라고 하지만 사실상 청와대의 하명수사라고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김영우 자유한국당 의원은 “송 장관 경질 논의는 왜 청와대가 관련 문제를 논의하고도 4개월간 뭉개고 있었는지를 밝힌 뒤에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기무사에서 민간인을 사찰하거나 정치에 개입한다든지 하는 일은 제대로 개혁해야 한다”면서도 “실제 계엄을 실행한 것도 아니고 무정부상태라는 최악을 대비해 만든 문건으로 청와대에서 드라이브를 거는 것은 정략적 의도가 다분해 보인다”라고 지적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