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자동차 등 자동차 업계가 1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수입차 관세 인상 조치를 생존의 문제라며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자동차 업계는 미국이 25%에 달하는 관세를 부과할 경우 한국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방식이 사실상 불가능해지고 협력 업체들과 지역 경제까지 줄줄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박한우 기아자동차 사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미국 25% 자동차 관세부과 대응 관련 광주 자동차 산업 위기극복 긴급 간담회’에서 “미국의 수입차 관세 부과 조치는 자동차 업계에서는 죽고 사는 문제”라고 호소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자동차 관세인상은 심각한 상황”이라며 “정부나 국회 차원에서 자동차 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정부와 정치권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그는 “우리 역시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하고 있다”며 “완성차업계, 부품업계, 딜러 연합회까지 (미국 상무부에) 의견서를 제출했고 현대차 공장에 근무하는 현지 직원이 공청회에 참석해가며 노력도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기아차 광주공장의 경우 미국의 25% 관세가 확정되면 직격탄을 맞게 된다. 기아차 광주공장은 전체 생산량 중 37.1%를 미국 시장에 수출한다. 특히 쏘울은 광주공장 생산량의 66.2%가 미국시장에 수출됐다.
현대차그룹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폭탄을 막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현대차는 최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주도했던 김종훈 전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을 특별고문으로 영입했다. 미국 상무부를 대상으로 한국의 자동차 관세조치 면제를 주장하는 데 한미 통상 관련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판단으로 해석된다.
현대차 정진행 사장 역시 김현종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이끄는 민관사절단에 합류해 19~2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무역확장법 232조 관련 상무부 공청회에 참석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국내 완성차업계, 부품업계, 딜러 연합회는 물론 미국 내 딜러십망과 투자자를 움직여 ‘관세폭탄’을 막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157억 달러, 자동차부품 수출액은 40억 달러로 미국시장에서 각각 5위와 6위를 차지했다. 한국무역협회는 무역 분쟁이 확신돼 미·중·유럽연합(EU)이 각각 관세를 10%씩 인상하면 우리나라의 수출 피해액은 367억 달러(약 41조원·총수출의 6.4%)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태환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