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북한이 6·25 당시 전사한 미군 유해 발굴 작업을 재개하기로 했다.
미국 CNN 방송은 15일(현지시간) 미 행정부의 관리 발언을 인용, 미국과 북한이 미군 전사자로 추정되는 200여구의 유해를 14~21일 사이에 송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유해발굴·송환은 11년 만에 재개되는 조치다.
미군 유해발굴·송환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12일 가진 회담에서 합의된 사항이다. 미국은 이를 위해 유해를 넘겨받는 데 쓰이는 관 100여개를 차량에 실어둔 채 판문점 UN 경비대 인근에서 대기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유해를 넘겨받으면 오산 공군 기지로 이송 후 하와이에 위치한 히컴 공군기지의 법의학 감정실로 보내 신원 확인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CNN은 “7월 말이나 8월 초쯤 (미군 유해가) 미국으로 인도될 것으로 보인다”며 “날짜는 사전 통지 없이 바뀔 수도 있다”고 전했다. 유해발굴·송환 로드맵에도 북한 측의 ‘변덕’이 작용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북측은 비핵화 로드맵을 두고 미국과 일정한 ‘시간표’를 두기로 합의했지만, 논의가 진행되던 중 “미국이 CVID와 비핵화 신고 검증 등 일방적이고 ’강도’적인 요구만 들고 나온다”며 합의사항 이행에 불만을 토로해 왔다. 이후 ‘비핵화 로드맵’은 자연스럽게 늦춰졌고,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방북한 것도 ‘빈손 방북’이라는 논란이 나오기도 했다.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지난 15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미·북 장성급 회담에서 미군 유해발굴·송환 작업에 대한 확고한 약속들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를 위한 실무회담은 16일 개최돼 세부 내용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일부에서는 이번 유해발굴·송환 계획을 진전으로 북한 내 ‘완전한 비핵화’ 작업에도 탄력을 받을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비핵화 시간표’ 등에 북한 측이 부정적이기에 종전선언 등 후속 조치는 아직 요원하다는 평가도 있다.
김종형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