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식당 여종업원을 이끌고 탈북한 지배인 허강일씨가 국정원에 의한 기획 탈북임을 거듭 주장했다.
연합뉴스는 15일 허씨와의 전화 인터뷰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씨는 원래 나는 국정원의 협력자였고 정보도 가져다줬다”며 “그 사람들(국정원)이 종업원을 데리고 오면 한국 국적을 취득하게 한 후 동남아에 국정원 아지트로 쓸 수 있는 식당을 하나 열어줄 테니 종업원들과 같이 식당을 운영하라고 꼬셨다”고 주장했다. 이어 “여종업원 대다수가 동남아에 가서 식당을 영업하는 줄 알고 따라왔다가 한국행 비행기에 오르고서야 한국으로 가는 줄 알았다”고 덧붙였다.
앞서 허씨는 지난 5월 JTBC와의 인터뷰에서 국정원에 의한 탈북임이고 여종업원들에게 한국으로 향한다는 사실을 사전에 알리지 않았다고 밝혔다.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 인권 특별보고관은 지난 10일 기자회견을 통해 “종업원 일부는 어디로 가는지 알지 못하는 상태로 한국에 왔다”고 발표하면서 북한 식당 여종업원 기획 탈북에 대한 의구심은 더욱 커지고 있다. 또 킨타나 보고관은 일부 종업원의 탈북이 납치에 의한 강제 탈북일 가능성도 제기하며 한국 정부에 철저한 진상규명을 요구했다. 그는 “자신의 의사에 반해 납치된 것이라면 범죄로 간주돼야 한다”며 “한국 정부는 신속한 진상규명을 통해 책임자를 밝혀내야 한다”고 말했다.
허씨는 2016년 4월 7일 중국 저장성 닝보에 있는 북한 류경식당의 여종업원 12명과 집단으로 탈북했다. 4·13 총선을 불과 닷새 앞둔 미묘한 시점이었다. 허씨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국정원에 의한 집단탈북임을 재차 주장하고, 킨타나 보고관 또한 같은 맥락의 내용을 발표하면서 기획탈북 논란은 확산되고 있다. 박근혜정부 국정원이 총선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집단탈북을 기획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반면 주무부처인 통일부는 류경식당 여종업원들이 자진해서 탈북했음을 재확인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지난 11일 정례브리핑에서 “(류경식당) 종업원들은 자유의사에 따라 입국한 것으로 알고 있으며 이에 추가적으로 언급할 사안은 없다”고 기존 입장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한편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이 해당 사건을 ‘박근혜정부 국가정보원의 강제적 기획 입국’으로 규정, 이병호 전 국정원장과 홍용표 전 통일부 장관 등을 지난 5월 고발했다. 고발장을 접수한 서울중앙지검은 이 사건을 공안2부에 배당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