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를 국빈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싱가포르 동남아연구소(ISEAS)가 주최한 ‘싱가포르 렉쳐’ 강연에서 ‘한국과 아세안, 동아시아 평화와 번영을 위한 상생의 파트너’ 주제로 연설하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나는 한국도 대담한 상상력을 실천할 수 있는 나라로 만들고자 한다”며 “남북 정상회담은 그 시작”이라고 밝혔다. 이어 “작년까지만 해도 누구나 꿈이라고 여겼던 일”이라며 “한국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를 기반으로 새로운 경제지도를 그리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남북은 경제 공동체를 향해 나아갈 것이다. 누구나 자기의 실력을 공정하게 발휘할 수 있는 나라로, 평화 위에 번영이 꽃피는 한반도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의 발언은 북한의 비핵화 조치 이후 남북 경협을 염두에 둔 것이다. 지난 대선 과정에서 ‘남북 자유무역협정(FTA)’ 구상을 밝혔던 문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경협 의사를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핵개발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본격화되기 전 아세안은 북한과 호혜적인 경제 협력관계를 맺었다”며 “또한 아세안은 한·아세안 FTA를 통해 개성공단 상품에 한국산과 동일한 관세혜택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여 남북 간 경제협력을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이행을 통해 대북 제재가 해제되면, 한 때 활발했던 북한과 아세안간의 경제협력이 다시 활성화될 것”이라며 “북한과 아세안 모두의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반도 평화정착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아세안과 한국, 북한과 유라시아 경제를 연결하는 접점이 되어, 아세안을 포함한 역내 국가들의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을 만들어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의지도 거듭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나는 그동안 김 위원장을 두 번 만났다”며 “김 위원장은 이념대결에서 벗어나 북한을 정상국가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의욕이 매우 높았다”고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이 비핵화의 약속을 지킨다면 자신의 나라를 번영으로 이끌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미 간 비핵화 협상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뜻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결코 순탄치 않은 길이지만 정상 간 합의를 진정성 있게 이행해나간다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 북한이 비핵화 이행방안을 더 구체화하고 한국과 미국은 이에 상응하는 포괄적 조치를 신속하게 추진한다면 속도는 더 빨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우리 정부는 하루빨리 평화체제가 이뤄져 경제협력이 시작되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판문점 선언’과 ‘센토사 합의’가 지구상 마지막 냉전을 해체한 합의로 기록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지속적으로 협력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싱가포르=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