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민선 7기 대변인등 3자리 개방형 전환

입력 2018-07-06 09:22 수정 2018-07-06 09:23
울산시는 민선 7기를 맞아 부이사관인 복지여성국장, 서기관인 대변인과 해양수산과장 등 3자리를 개방형으로 전환한다고 6일 밝혔다.

울산시에 따르면 시는 이런 내용을 담은 울산광역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 일부개정규칙안을 입법예고했다.

시는 이번 규칙 개정안에 의견이 있는 기관·단체 또는 개인으로부터 의견서를 받은 후 9일 조례규칙심의위원회를 거쳐 12일 공포와 함께 임용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다.

울산시는 “민선 7기 출범에 따라 시정의 원활한 추진과 행정환경 변화를 반영하려고 복지여성국장 등을 개방형 직위로 조정한다”고 설명했다.

지방부이사관 자리인 복지여성국장과 지방서기관 자리인 공보관을 대변인으로 이름을 바꿔 개방형 직위로 조정한다.

지방서기관이나 지방기술서기관 또는 지방어촌지도관 자리인 해양수산과장도 외부에서 뽑는다.

해양수산과장은 신임 송철호 시장의 핵심 공약인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사업이나 해수담수화사업 등을 추진하려고 전문가를 뽑는 것으로 알려졌다.

복지여성국장은 1997년부터 2013년까지 개방형과 비슷한 별정직으로 뽑았지만, 2014년부터 내부에서 임명해오다가 이번에 다시 개방형으로 바뀐다.

대변인과 해양수산과장은 이번에 처음으로 개방형으로 전환해 외부 수혈한다.

울산시는 지방공무원법에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개방형 직위 및 공모직위 운용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모두 12개 직위를 개방형으로 뽑을 수 있다.

개방형 직위는 민간인과 경력 공무원이 대상이다.

1∼5급까지 대상인 울산시 개방형 직위는 1급에는 경제부시장 1명, 3급에는 감사관, 교통국장, 보건환경연구원장 등 3명, 4급에는 농업기술센터장, 문화예술회관장, 울산박물관장, 서울본부장 등 4명, 5급에는 공보관실 영상콘텐츠 담당, 문화예술회관 시립미술관 담당, 도시창조과 공공디자인 담당, 서울본부 대외협력과장 등 4명이 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