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무사, 세월호 유족도 사찰…관련 문건 발견

입력 2018-07-02 10:59
뉴시스


국군 기무사령부가 세월호 참사 당시 여론 형성과 피해자 가족 성향 분류 등에 조직적으로 관여한 것으로 밝혀졌다.

국방부 사이버 댓글사건 조사 태스크포스(TF)는 2일 “기무사가 세월호 사건에도 조직적으로 관여한 문건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조사단은 ‘예비역 사이버 전사’ 운용 계획과 시위정보 제공 등 안보단체를 동원한 여론조작 정황을 발견하고 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해당 문건 등을 찾아냈다.

조사단 발표에 따르면 기무사는 세월호 참사 13일째인 2014년 4월 28일 현장상황을 파악하고자 TF를 구성했다. 사고발생 28일째인 5월 13일에는 참모장을 TF장으로 하는 ‘세월호 관련 TF’로 확대했다. 기무사 TF는 같은 해 10월 12일까지 6개월간 운영됐다.

당시 참모장(육군 소장) 중심으로 사령부 및 현장 기무부대원 등 60명으로 구성된 TF는 유가족 지원과 탐색구조·인양, 불순세력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

또 세월호 탐색구조 및 선체인양 등 군 구조 작전 관련 동정 보고와 실종자 가족 대책위 대표 인물의 성명과 관계, 경력 등을 정리하고 성향을 강경·중도 등으로 분류하기도 했다.

실종자 가족을 대상으로 탐색구조 종결을 설득할 논리 및 방안을 서술한 문건과 안산 단원고에 기무 활동관을 배치해 일일보고를 받은 문건도 발견됐다.

당시 기무사는 유가족들이 무분별한 요구를 한다는 전제 하에 유가족들에게 국민적 비난 여론을 전달, 이들의 요구를 근절하겠다는 취지의 보고서도 작성했다.

국회·국회의원 등의 동정을 포함해 보고한 문건도 있었고 보수단체들이 좌파 집회에 대항하는 맞불 집회를 열 수 있도록 시위정보를 제공한 문건도 존재했다.

조사단은 이번에 확인된 문건을 국방부검찰단으로 이첩하고 위법 여부를 계속 확인할 방침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세월호 진실규명 특별법으로 구성될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에 관련 자료를 제공하는 등 적극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이재빈 인턴기자